'최규선 게이트'를 수사중인 서울지검 특수2부(차동민 부장검사)는 17일 최씨가 관급공사 수주나 연립주택 재개발 사업 인허가 등각종 이권에 개입, 거액의 금품을 수수한 사실을 밝혀냈다. 검찰은 이날 최씨를 알선수재 등 혐의로 긴급체포했으며 18일중 구속영장을 청구할 방침이다. 검찰은 체육복표 사업자 선정과 관련, 천호영(37)씨로부터 "최씨가 사업자 선정직전인 재작년 12월초 타이거풀스 대표 송재빈씨에 전화를 걸어`심사위원들이 내일합숙을 끝내고 나오는데 일이 다 잘됐다'고 얘기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최씨는 지난 10일부터 12일까지 3차례에 걸쳐 경찰청 전 특수수사과장 최성규(52) 총경과 김희완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 관련 기업체 대표와 비서진 등 7-8명과 함께 대책회의를 가진 것으로 드러났다. 검찰은 최 총경이 도피직전 청와대를 방문, 사정비서관을 만나고 대책회의 등을가진 점, 청와대 사정비서관이 검찰간부 등에 전화로 수사상황을 문의한 점 등에 주목, 최총경의 도피를 도운 조직적인 배후 세력이 있는지 여부를 조사중이다. 최씨는 대책회의를 가졌던 11일 오전 호텔방에서 개인 휴대전화로 자신을 `김이사'로 소개하며 신건 국정원장에게 전화를 걸어 구명을 청탁했고 지난 8일 박지원당시 특보에게도 전화를 걸어 `나만 희생시키려 하는데 그런 일은 있을 수 없다'고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 원장은 "최씨가 구명청탁을 해 `나와 상의할 문제가 아니며 여기저기 전화하지 말고 검찰에 출두해 떳떳하게 처신하라'고 한 뒤 전화를 끊었다"고 말했으며 박지원 전특보는 통화 사실 자체를 부인했다. 검찰은 또 최씨가 산업은행 국제본부 임원에게 외자를 유치해 주겠다며 산은 전산센터 5층 사무실을 제공받아 사용했으며 재작년 코스닥업체 D사로부터 300억원대대출 알선 대가로 금품을 받은 정황을 포착, 산은 간부 등을 불러 조사했다. 산은측은 "외국금융사와 친분이 있는 최씨의 역할에 기대를 걸고 당시 한 임원이 사무실을 제공한 것은 사실이나 D사와는 지난 84년부터 거래를 해왔으며 관련 임원은 대출 문제와 관련이 있는 위치에 있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성용 기자 ks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