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평창동계올림픽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각종경기장 시설이 집중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강원발전연구원 주최로 14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릴 평창 동계올림픽유치를 위한 국제세미나에 앞서 한양대 이학래(李鶴來) 교수는 사전 배포한 `2010 평창올림픽 유치를 위한 경쟁력 강화방안'이라는 주제논문에서 "동계올림픽 유치를 위해 각종 시설물이 개최지에 집중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또 "평창에서 전주까지 4-5시간이 걸려 원활한 대회운영을 보장할 수없는 만큼 분산개최 문제를 국가 차원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또 "전북과의 분산개최 보다는 서울의 국제 규모 빙상경기장을 활용해야하고 숙박시설의 경우 대회관계자 등은 강원도내 리조트를, 나머지 인원은 동해안의민박시설이나 월드컵 경기로 확충된 서울, 경기지역 시설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대회 개최에 필요한 경기장 시설과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다른 경쟁국들보다 더 많은 재정을 지원하겠다는 점을 명확히 보증해야 하며남북분산 개최를 통한 평화와 화해라는 올림픽 정신의 실현 등 특별한 명분과 여건이 제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김재형 KDI공공투자관리센터소장은 "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기존시설을 최대한 활용하는 등 효율적인 투자계획이 필요하다"면서 "정부와 지방정부의 유기적 협조관계와 국민의식의 선진화 등을 실효성있게 수립하면 긍정적 파급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주제발표자로 나서게 될 노르웨이 오드 알베 리엔 릴리함메르 부시장도 발제문을 통해 "릴리함메르는 단 하나의 올림픽 촌으로 치밀한 게임을 치를 수 있는 유리한 조건을 갖고 있었다"며 "모든 시설은 45분 거리에 위치해 있었다"고 소개했다. 이날 정기포럼에는 김진선(金振先+先) 강원지사와 일본 나가노올림픽조직위 고바야시 마코토 전사무총장, 이정식 국토연구원장, 김영환 KOC명예총무 등 주요인사들이 참석한다. (춘천=연합뉴스) 임보연기자 limb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