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만에 한국에 돌아와 보니 제가 여성이란 걸 새삼 실감하게 되네요.서구에서는 아무렇지도 않은 일이 뉴스가 될 수 있다니 아무리 생각해도 신기하네요" 영국 런던정경대(LSE.London School of Economics)에서 강의를 하다가 최근 KAIST(한국과학기술원)테크노경영대학원 교수로 임용돼 귀국한 이현정 박사(37)는 이렇게 말문을 열었다. 이 박사는 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 최초의 여자 전임교수다. 이 박사는 지난 98년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LSE 교수가 됐고 이듬해 "조직행동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LSE 교수로 임용된 뒤에는 한국 관련 이슈가 생길 때마다 자문을 도맡다시피 했다. 이 박사가 남들이 부러워하는 LSE 교수직을 마다하고 한국으로 돌아오기로 한 데는 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의 활발한 연구문화에서 신선한 충격을 받았기 때문이었다. 이번 학기부터 "조직행동론" 강의를 하는 그는 "우리나라 회사원들이 너무 바쁘게 살다보니 깊이있게 생각할 겨를조차 없는 것 같다"며 "생산성을 높이려면 조직구성원들이 창의적인 생각을 할 수 있는 시간,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는 취미활동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직원들이 행복해야 동기 형성이 된다"며 "학교 강의도 삶의 질을 높이는데 초점을 맞출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이 박사는 자신을 "정신적 풍요를 추구하는 자유인"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그에겐 연구활동이 마냥 즐겁기만 하다. 서울대에서 심리학 학.석사과정을 마친 뒤 박사과정 논문 작성을 앞두고 홀연히 런던으로 떠났던 것도 새로운 것에 대한 갈증 때문이었다. 이 박사의 삶은 연구활동 뿐만 아니라 여행과 문화로 채워져 있다. 런던에 있을 땐 음악회 오페라 미술전시회 등을 찾아 유럽 전역을 누볐을 정도였다. 음악전문지 "객석"에 오페라 관련 칼럼을 쓰기도 했다. 그는 다시 태어나면 오페라디렉터가 되고 싶다고 할 만큼 오페라에 심취해 있다. 방학을 맞으면 중동 중앙아시아 중국 몽골 시베리아 등 세계 구석구석을 찾아다니며 그들의 삶을 들여다본다. "여행을 통해 낯선 문화를 접해보면 세계인들의 역사와 생활방식을 읽을 수 있어요. 심리학적 차원에서 바라보기 때문에 연구활동을 하는데 많은 영감을 얻습니다" 이 박사는 이같은 경험을 살려 "비교문화경영학"이란 새로운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조직이 전문인력을 효과적으로 끌어안을 수 있는 시스템 연구에도 열중이다. 그는 "학생들에게 단편적인 지식을 가르치기보다 이론과 메커니즘을 바탕으로 분석능력을 길러주는 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글 최규술 기자 kyus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