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7일자) 한국증시의 선진시장群 편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계 각국의 자본시장을 성숙단계와 특성별로 나눠 국제 투자자들로 하여금 지침으로 삼도록 해온 모건스탠리가 머지않아 한국증시를 신흥시장에서 선진국시장으로 격상시킬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소식이다.
그것이 실현된다면 한국증시엔 국가신용등급 상향조정을 능가하는 대형 호재가 되고 국제자본가들이 한국주식을 한단계 높이 평가할 것이므로 국가적 경사가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책임 또한 무거워질 것이기 때문에 주의하고 경계해야 할 대목이 한둘이 아니다.
예상되는 가장 큰 변화는 자금이동이다.
한국에 대한 투자비중이 어떻게 정해지느냐에 따라 자금유입 규모가 결정되겠지만 신흥시장에 대한 투자를 금지해 온 미국과 유럽의 유수한 보험회사 연기금 투자은행 등은 한국이 선진국시장으로 분류되면 한국주식에 본격적으로 투자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금이 집중되면 증시가 한껏 달아오르게 될 것이므로 정책당국은 마땅히 예상되는 부작용에 대해 사전 대비책을 세워놓아야 한다.
실제로 포르투갈이 선진국시장에 편입된 뒤 1년동안 주가가 90%나 폭등해 나라경제를 들끓게 한 적이 있다.
반면 신흥시장에 투자하는 펀드는 상당수가 한국에서 철수할 것이므로 자금의 물갈이 과정이 불가피하게 된다.
그 사이 환율이나 금리 등이 소용돌이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외국자본의 유출입 규모가 커질수록 불확실성도 높아지게 된다.
모건스탠리의 투자비중은 그 나라의 경기상황이나 기업의 수익력에 따라 수시로 바뀌기 때문에 들어온 자금이 대규모로 빠져 나갈 때 겪어야 하는 고통 또한 가볍지 않다.
선진국 시장인 일본증시에 1999년 9조1천억엔의 외국자본이 몰려들었으나 2000년에 2조4천억엔의 자금이 빠져나가면서 은행 등 금융회사들이 빈사상태로 내몰린 것은 결코 남의 나라 일이 아니다.
그런 ''징벌''을 면하려면 온탕 냉탕을 반복해온 경기변동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정부의 대처능력 또한 절실히 요구된다.
선진시장에서 활동하는 자금이 요구하는 것은 투명경영과 주주중시 경영이므로 그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면 갖가지 문제에 봉착할 수 있다는 점도 기업경영자들이 충분히 헤아려야 한다.
장기자금이 눈독을 들이는 주식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몇몇 기업에 한정될 것이므로 주가차별화를 더욱 부추기게 될 가능성도 높다.
자본의 편중현상이 빚어낼 산업간 불균형 문제를 조화시키는 일도 정부당국자에게 던져진 과제라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