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一飯三吐哺의 교훈 .. 주덕영 <한국생산기술연구원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dougjoo@kitech.re.kr
인터넷이 기존 시공간의 개념을 바꾸며 전세계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어 놓았지만 시무식과 더불어 한 해 업무를 시작하는 풍경은 아직도 크게 달라지지 않은 듯하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도 지난 2일 시무식을 치렀다.
신년사를 통해 생육의 에너지를 수출로부터 길어 오는 우리나라 실정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그리고 제조업의 발전은 곧 생산기술의 발전이며 생산기술 발전은 양질의 연구인력에 달려있음을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마음 한편이 착잡했다.
기술인력 기근현상 때문인데,국내 유일의 중소기업 전문연구소라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만 하더라도 순수 연구직원이 3백명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전체 기업의 99.7%,2백76만9천여개에 이르는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갈증을 이 3백여명의 연구원들이 책임지고 있는 셈이다.
국민 10가구당 한 가구가 실업의 고통을 겪고 있다는 구직난의 시대에 산업현장은 유례없는 구인난으로 아우성이다.
중소기업의 경우 중국의 맹렬한 추격으로 연구개발형 기업이 아니면 살아남을 수 없다는 위기의식이 높아지고 있지만 연구원을 구하지 못해 애태우고 있다.
대부분의 핵심 인력은 과학기술 강국으로 유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유능한 과학자 확보를 위해 이민법까지 개정하는 선진국들의 적극적인 공세에 대응하지 못하는 한 국내 과학기술 인재의 누수현상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2002학년도 수능시험만 보더라도 자연계 응시자(27%)가 인문계 응시자(56%)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그나마 자연계 응시자의 대다수가 의대쪽을 선호하고,기특하게 공대를 지원한 인재들도 졸업 후 대학강단이나 해외로 떠나버린다.
획기적 처방전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10년 후 우리나라는 인구의 6분의1 정도만 제품 만드는 일에 종사하게 될 것이다.
지금도 정보기술(IT) 생명기술(BT) 나노기술(NT) 등 6대 기술분야를 통틀어 45.6%의 고급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같은 현상은 사농공상(士農工商)의 뿌리가 깊고 학습과정이 어려운 데다 의사 판검사에 비해 사회적 지위가 낮은 탓이다.
기술개발에 국가의 장래가 달려있는 만큼 매혹적인 유인책을 마련해 이 분야의 인력 양성에 힘써야 할 때다.
막대한 기술개발 예산의 일정부분을 잘라 인력 양성에 투자해야 할 것이다.
일반삼토포(一飯三吐哺).
주공(周公)이 세 번이나 입에 넣었던 밥을 뱉고 일어나 현인을 맞아들였다는 고사처럼 유능한 과학기술 인력 확보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책을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