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대량파괴무기(WMD) 개발 및 확산을 중단 하라" 고 북한에 경고,북미 및 남북관계에 적잖은 파장을 미칠 전망이다. 부시 대통령은 27일(한국시간) "미국은 북한과의 관계개선을 하기 앞서 대량파괴무기를 개발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길 원한다"며 "북한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필요한 검증을 허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만약 어떤 나라들이 테러목적으로 사용될 대량파괴 무기를 개발한다면 그들은 이에 대한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거듭 경고했다. 부시 대통령의 이같은 발언은 오사마 빈 라덴이나 알 카에다 등이 북한 이라크 등으로부터 대량파괴무기를 입수하지 못하도록 사전에 봉쇄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뉴욕타임스 등 일부 언론들은 반테러전쟁이 확전될 경우 북한이 다음 공격대상이 될 가능성을 조심스레 제기했으나,애리 플라이셔 백악관 대변인은 "검증은 과거 대선때부터 해온 얘기"라며 전쟁이 이라크 북한등으로 확산될 가능성을 일단 부인했다. 그러나 테러전쟁이 시작된 이후 미국이 대북강경 자세를 강화함에 따라 북미관계 개선은 더욱 어려워질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이 대량파괴무기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지 못할 경우 북미관계는 현상태를 좀처럼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라 내다봤다. 이에 따라 남북관계의 소강국면이 장기화 될 것이란 우려도 점차 강해지고 있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