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건설업체들의 해외수주 부진이 심상치 않다.건설교통부 집계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18일 현재 해외건설 수주는 32억6천3백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80%를 밑돌 뿐만 아니라 가장 활발했던 97년의 3분의1 수준에도 못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더구나 빠른 시일내에 회복이 이뤄질지도 의문이라고 하니 참으로 걱정이다. 해외건설 수출이 부진한 이유는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만큼 분명하다. 외환위기 이후 국가신용도가 급격히 추락한데다 선봉을 맡았던 현대 대우 동아건설 등 대형업체들이 심각한 경영위기를 겪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외환위기라는 외부요인에 의한 불가피한 추락으로 보아야 할 것인가. 결코 그렇지 않다는 게 우리 생각이다. 수익성을 무시한 마구잡이 수주와 방만한 경영,그리고 국내업체끼리의 과당경쟁 등 업계 스스로 자초한 결과다. 따지고 보면 외환위기의 책임도 상당부분 해외건설업체 자신들에게 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런 점에서 해외수주 부진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업계가 과거의 병폐에 대한 철저한 반성과 확실한 시정의 바탕위에서 새출발을 다짐하는 것이 무엇보다 급선무라고 본다. 국내업체끼리의 제살 파먹기식 과당경쟁을 지양해야 함은 물론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선별수주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그러자면 기술력의 확충이 뒷받침돼야 하고,이를 위해서는 해외 유수건설업체들과의 전략적 제휴 등을 잘 활용할 필요가 있다. 그같은 자구노력을 전제로 정책적 지원이 더욱 확충돼야 함은 물론이다. 특히 최근의 건설수주방식이 설계 구매 시공 등을 종합수행하는 일괄구매방식이 늘어나고 있는 점을 감안한다면 업계의 노력만으로 수주를 성사시키기에 역부족인 경우가 태반이다. 또 해외건설 프로젝트는 장기간에 걸쳐 수행돼야 하는 대규모 공사인 만큼 필요한 자금을 얼마나 값싸게, 제 때 확보할 수 있느냐가 경쟁력의 전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범국가적인 차원에서 수주활동을 지원하되 특히 금융기관들이 지급보증 등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 건설업계의 구조조정이 어느정도 윤곽이 잡혀가고는 있지만 아직도 확실한 비전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것도 문제다. 이해관계가 워낙 복잡하게 얽혀있는 만큼 손쉽게 해결될 일은 아니지만 국가경제 차원에서 우수한 인력과 장비들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사장된다면 이는 더 큰 문제다. 이를 조속히 마무리하는 것도 서둘러야 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