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신문이 취재원과 취재경로를 제시하지않고 보도하거나 정부의 발표만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사례가 많아 기사의 정확성과 공정성이 의심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언론재단의 연구팀(장호순 순천향대 교수ㆍ이재경 이화여대 교수ㆍ오수정한국언론재단 조사분석팀원)이 경향신문ㆍ조선일보ㆍ중앙일보ㆍ한겨레신문 5월 21∼26일자 기사(인터뷰 및 통신 전재기사 제외) 1천503건을 분석한 결과 14.9%의 기사가 아예 취재원을 제시하지 않고 있으며 취재원이 등장한 경우도 대부분 3개 이하(88.0%)에 그쳤다. 또한 취재원이나 취재경로는 정부와 기업 등에 편중돼 시민사회 구성원들이 취재원으로 활용되는 사례는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 1개 기사에서 이용하는 평균 취재원 수는 1.78개로 집계됐으며 이 가운데 인물1.23명, 단체 0.43개, 자료 0.13개였다. 신문별로는 중앙이 2.19개로 가장 많았고 경향(1.87개), 조선(1.58개), 한겨레(1.53개)가 뒤를 이었다. 인물 취재원은 중앙일보가, 단체 취재원은 경향신문이, 자료 취재원은 한겨레가 비교적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면별로는 정치면의 기사가 1건당 평균 2.57개의 취재원을 이용해 가장 많았다.경제면은 1.43개로 가장 적었고 사회면은 1.66개였다. 취재원이 제시되지 않은 기사의 비율은 조선(16.8%), 한겨레(16.3%), 경향(14.2%), 중앙(12.0%)의 차례로 높았다. 전체 인물 취재원의 36.9%를 차지하는 익명의 취재원 활용도는 한겨레(42.0%), 중앙(39.4%), 경향(37.1%), 조선(27.6%) 순이었다. 인물 취재원의 활용빈도는 국가기구(57.7%)에 집중돼 있는데 국회의원이 25.6%로 최고였으며 대통령 및 청와대 관계자(6.2%), 각료(5.8%) 등이 뒤를 이었다. 이가운데 지방자치단체 소속 취재원은 0.8%에 불과했다. 국가기구에 소속되지 않는 취재원 가운데서는 전문가 및 학자(8.0%), 기업경영인 및 기업관계자(6.2%), 금융기관 관계자(4.1%)가 많은 반면 농민과 노동조합 관계자는 각각 0.9%와 0.2%에 그쳤다. 조사대상 기사 중 취재경로가 제시된 기사는 56.8%였으며 나머지는 기자가 어떤과정을 거쳐 정보를 입수했는지, 어떤 상황에서 기사를 작성했는지 확인할 수 없는기사로 집계됐다. 취재경로 숫자는 기사당 평균 0.57개였으며 중앙 0.70개, 한겨레 0.57개, 경향0.51개, 조선 0.49개의 순이었다. 취재경로를 유형별로 보면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제공한 정보 40.9%, 정부의 공식 행사나 행정절차(범죄수사 포함) 10.9%, 기자회견 및 보도자료 13.1%였으나 기자가 독자적으로 정보를 입수해 작성한 기사나 직접 목격한 사건 현장기사는 각각 5.9%와 1.9%에 머물렀다. 국내 주요신문의 빈약한 취재원 활용실태는 미국 주요신문과 비교할 때 더욱 두드러진다. 같은 기간에 발행된 미국 뉴욕 타임스와 디트로이트 프리프레스 기사에서는 평균 10.06개의 취재원이 활용돼 국내 신문의 5배를 넘었다. 한국기자상과 퓰리처상 수상기사 10개씩을 비교하면 1 대 3.7, 청와대와 백악관출입기자 기사의 경우에는 1 대 2.7의 격차를 나타냈다. 언론상 수상작이나 대통령 보도기사의 평균 분량은 미국의 기사가 4배 가량 많아 한국의 기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건의 배경과 전망을 충실히 전달하는 경향을보여주는 것으로 조사됐다. 장호순 순천향대 교수는 "국내 신문의 기사가 대체로 다각적인 취재 없이 일방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수준이어서 정확성과 공정성이 떨어진다"면서 "단신 위주의지면 제작관행을 심층기획 위주로 바꾸는 한편 폐쇄적인 출입처 기자실 문화에서 탈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이희용기자 heey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