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르면 내년 상반기부터 학교와 공공기관에서 주5일 근무제를 실시하는 것으로 방침을 정함에 따라 앞으로 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이렇게 될 경우 노동계의 요구대로 내년 하반기부터는 기업에서도 주5일 근무제를 실시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주5일 근무제가 도입되면 우선 생활·여가 패턴에서 큰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사실 정부가 주5일 근무제 도입을 서두르면서 내놓은 당위성 중 하나가 바로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이다. 직장인들이 5일 동안 집중적으로 일을 처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종래 '직장 중심으로 이뤄졌던 삶과 문화'가 '가족중심의 여가 문화'로 탈바꿈할 수 있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토요 근무가 없어지면 가족들은 취향에 맞게 여가활동을 할 수 있는 시간이 더욱 늘어나게 된다. 또 직장인의 경우 재충전 시간이 늘어 생산성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여성들이 떠맡고 있는 가사 및 육아 부담 역시 줄어들 것이 확실시된다. 주5일 근무제의 조기 실시가 구체화됨에 따라 문화관광부 농림부 건설교통부 등은 일제히 환영의 뜻을 표하고 나섰다. 문화관광부는 여가활동이 많아지면 그만큼 관광·레저산업의 성장이 예상되고 이는 곧바로 내수시장 활성화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농림부는 주말농장 등 농촌활동이 가족 단위의 여가활동에 적합해 주5일 근무제가 농촌경제의 활성화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건설교통부는 여가 활동이 본격화되면 자연스럽게 교통업계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는 입장이고 산업자원부는 토요일 근무에 따른 에너지 낭비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주5일 근무제는 시장부분에서도 상당한 파급효과를 미칠 것이 분명하다. 노동부는 △노동생산성 향상 △고용창출 △노사관계 안정 △산재감소 및 근로자의 건강증진 효과 등을 기대하고 있다. 노동생산성과 관련,법정근로시간이 주 48시간에서 44시간으로 단축됐던 지난 89∼92년의 경우 노동생산성이 연 평균 12.6% 증가,이전 4년의 평균 9.0%와 비교해 크게 높아졌다. 노동부는 근로시간이 40시간으로 감소할 경우 노동생산성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생산직의 경우 3교대 근무가 4교대로 바뀔 가능성이 높다. 자연스럽게 고용기회가 창출되는 것이다. 노동부는 법정근로시간이 48시간에서 44시간으로 줄었을 때 고용은 4.73% 증가했다고 밝혔다. 노동부는 아울러 근로자들이 충분히 재충전한 뒤 일에 집중할 경우 부주의로 인한 산업재해나 과로사 등도 크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주5일제 근무가 기업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측면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당장 노동비용 상승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가 우려되며 근로자들이 초과근로를 거부할 가능성이 있어 생산차질이 빚어질 수도 있다는게 재계측의 주장이다. 또 △신규인력을 고용하는게 부담으로 작용할 수도 있는데다 △인사 관리 시스템도 새로이 짜야 하고 △수요 증가시 기동력있게 대응하는게 어려울 수도 있어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도경 기자 infofe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