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시장 지정법인의 23%가 부실성 기업이며 이시장에서는 허수주문을 비롯한 불공정행위도 적지 않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증권연구원의 최원근.오경희 연구원은 24일 `제3시장 개선방안'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12월결산 제3시장지정법인 129개사 중 23.3%인 30개사가 부실성 기업으로판단된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정기공시서류 미제출 기업 20개사 ▲감사의견 거절 기업 1개사▲감사범위 제한으로 한정의견을 받은 기업 8개사 등이라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정 취소된 법인은 지난 5월까지 6개사에 불과했다고 이들연구원은 말했다. 또 제3시장에는 가격변동폭 제한이 없다는 점을 이용한 요행성 주문세력과 시세왜곡 등을 위한 허수주문세력이 시장질서를 문란하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 연구원은 최근 접수된 호가중 약 65% 가량이 허수주문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또 불성실 공시에 대한 제재가 부적절한 것을 포함해 투자자 보호장치가 미흡하며 증권거래소.코스닥 법인들과 달리 양도세를 부과하는 것도 투자자들의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 연구원은 제3시장 개선을 위해 ▲지정취소가 우려되는 종목에 대해서는 사전에 투자유의종목 또는 관리종목으로 지정하고 ▲2차례 정기공시의무를 위반하면지정을 취소하며 ▲가격변동제한.시장조성자 제도를 만들며 ▲정규시장 퇴출종목들은 자동적으로 3시장으로 자동 이관되도록 하고 ▲거래소.코스닥 진입을 희망하는기업중 일정수준 이하의 기업들은 사전에 일정기간 제3시장을 경유하도록 장려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윤근영 기자 keunyou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