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9일 왜곡 역사교과서 수정 불가방침을 밝히자 학계, 시민단체, 시민 등 각계 인사들은 일제히 "21세기한.일 파트너십을 무시하고 한국민을 우롱한 처사"라며 강력히 비난했다. 각계 인사들은 "일본의 역사 왜곡은 일본 스스로 국제적 고립을 자초하는 행위일뿐"이라며 정부의 지혜로운 대처를 주문하는 한편 북한, 중국 등 관계 국가들과의공동 대응, 시민단체와의 연대 등도 촉구했다. ▲연세대 사학과 박영재(朴英宰.55) 교수 = 일본이 그릇된 역사교과서를 고집하는 것은 국제사회에서 고립되겠다는 것과 마찬가지다. 현재 일본 국민과 의회, 정부는 일부 보수파들에게 이끌려가고 있다. 불행한 역사가 되풀이되는 것 같다. 우리도 경계를 해야한다. 우리들은 일본 역사교과서 사태를 계기로 일본뿐만이아닌 다른나라의 실정에도 눈을 돌려야한다. 일본외에도 미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잘못된 한국역사를 배우고 있다. 또한 우리 국사교과서도 잘못된 부분이 많다.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조기숙(趙己淑.42)교수 = 지금이야말로 냉정하게 현 사태를 분석해야한다. 우리 정부가 강경 일변으로 나가는 것은 외교적으로 바람직스럽지 않다. 정부가 전시용으로 반일강경책을 쓴다해도 얻을 게 없다. 정부는 손익계산을 분명히 한 뒤, 일본정부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 문제는 학계와 시민단체 등 민간에 맡겨 이들이 자체적으로 일본 지식인들과접촉, 일본 사회분위기를 바꿔 스스로 올바른 역사를 배우게하는게 바람직하다. ▲양미강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총무 = 일본정부의 왜곡 역사교과서 재수정거부는 말만 진지하게 검토해본다고 해놓고서 한마디로 한국정부를 우습게 본 것이다. 일본 정부의 이같은 행태는 더이상 언급하기 싫을 정도이지만 10년동안 군위안부 문제를 끊임없이 제기해왔듯 앞으로도 꾸준히 싸워나가겠다. ▲전국교직원협동조합 최철호 대외협력실장= 일본 정부가 역사왜곡의 핵심부분인 근현대사를 그대로 놔두고 수정요구를 일절 받아들이지 않은데 대해 규탄한다. 전교조 차원에서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교총과 함께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에대한 공동수업을 더욱 확대 실시하는 한편 이런 역사교과서가 채택되지 않도록 일본의 전교조인 '일교조'와도 긴밀한 협조체제를 계속 유지할 것이다. ▲역사문제연구소 장신 간사 = 일본 정부의 수정 거부는 어느정도 예견된 것이긴 해도 이같은 전면적 거부는 해도 너무하다는 생각이다. 지금도 마치 일제 식민지시절인 것처럼 한국민을 대하고 있다. ▲정재흠(28.회사원.경기 고양시)= 용납할 수 없지만 우리나라가 힘이 없어서그런 것 아니겠는가. 어느나라든지 자국의 입장에서 모든 사안을 대하려는 것은 인지상정이겠지만 역사라는 것은 사실에 근거를 둔 보편타당한 있는 그대로의 것인데이를 왜곡하려하는 것은 일본의 오만이다. 이번 일본과의 마찰도 최대한 이성적으로대처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지만 일본과 우리사이에는 이처럼 이성만으로 안되는 것도있음을 일본 당국자들은 인식해야 한다. ▲권석휘(25.성대 신방과3)= 지금이라도 주한 일본대사 추방을 포함한 모든 방안을 강구해야한다. 특히 일본문화개방이라든지 중국,러시아 등 일본과 마찰이 있는국가들과 연대해 강경하게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서울=연합뉴스) 김성진 고일환 이상헌 기자 honeyb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