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교토(京都) 기후협약(교토 의정서)' 이행을 미국과 일본이 거부하고 있는 가운데 협약 유지를 위한 타협안이 5일 제시됐다. 유엔 기후회의 의장인 얀 프롱크 네덜란드 환경장관은 이날 자국 의회에 출석,1997년 일본 교토에서 채택된 교토 기후협약을 유지할 수 있다면 이행 시기를 연기할 수 있다고 밝혔다. 기존 교토 기후협약에 따르면 선진 공업국들은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온실 가스배출량을 오는 2008-2012년 까지 현저히 줄여야 한다. 프롱크 장관은 "나는 교토 기후협약 이행 시기를 2008년에서 2010년으로 2년 연장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행 시기가 조정되면 (협약 유지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협약 이행시기 조정은 목표의 수정을 의미하기 때문에 협약의 근간도 바뀌어야 한다는데 이론의 여지가 없다"며 "우리는 이에 대한 논의를 시작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위르겐 트리틴 독일 환경장관도 앞서 5일 독일 의회 연설에서 일본은 1단계 기후협약 이행 시한에 부담을 느끼고 있을 것이라고 전제하고 이 기간을 일정 기간 늦추는 방안을 논의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트리틴 장관은 이렇게 되면 일본은 기후협약 이행에 대한 부담을 덜게 되고 기후협약 비준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나 일부 이행조건의 완화에도 불구하고 기후협약을 통해 국제사회가구속력 있는 온실가스 배출 억제 목표를 도출한다는 기본 목표는 결코 훼손돼서는안된다고 지적했다. 프롱크 장관의 이번 타협안은 경제적 이유로 기후협약 비준에 소극적인 일부 선진국들에 한숨 돌릴 여유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미국은 지난 3월 교토 기후협약이 미국 등 선진 공업국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줄 수 있다며 협약 비준 거부 방침을 밝혔으며, 일본도 최근 이에 동조하는 모습을보여 국제적 논쟁을 야기했다. 석유와 가스, 석탄 등 화석연료를 태울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등 지구 온난화를 촉진하는 가스 배출량을 현저히 줄이기 위한 교토 기후협약은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정상회담에서 처음 채택됐으나 미국 등 주요 공업국들은 아직 비준을거부하고 있다. (헤이그.제네바 AFP.AP=연합뉴스) joon@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