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6월13일로 예정된 제3대 지방선거가 1년앞으로 다가옴에 따라 각 정당과 출마 희망자들의 선거준비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어조기과열이 우려되고 있다. 특히 이번 지방선거는 대선을 6개월 앞두고 치러져 '대선 전초전' 성격을 띠는데다 여야의 차기 후보군중 일부가 광역단체장 후보로 전진배치될 가능성이 있어 대선 판도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여야는 이미 원외지구당에 대한 정기 당무감사 등을 통해 활동이 부진한 지구당위원장을 과감히 교체하거나 원내지구당에 대해서도 내부정비를 독려, 선거체제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출마 희망자들도 공천을 받기 위해 지구당위원장이나 공천희망 정당의 지도부를향한 줄대기에 나서는 한편 지역주민들과의 접촉을 늘리는 등 치열한 물밑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전국적으로 선거를 겨냥한 자치단체장의 예산배정이나 사업추진 등으로 지방행정의 난맥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민주당은 향후 경제회복과 남북관계 개선 등을 바탕으로 수도권과 호남을 지키면서 지난 4.13 총선에서 지지기반을 크게 넓힌 강원과 충청권에서도 승리한다는 계획아래 참신한 후보자 물색에 주력하면서 연말까지 전국 227개 지구당의 읍.면.동협의회장 체제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영남에서의 압승은 물론 수도권과 강원 충북 등 11개 지역에서 승리한다는 목표하에 수권정당으로서의 이미지를 부각시키면서 7월중 2차 지방조직 감사를 실시하고 취약지인 호남 및 대전.충남지역에 전국구 의원들을 지구당위원장으로배치하는 등 조직강화에 나설 예정이다. 자민련은 지난 총선 패배로 오히려 충청지역에서 김종필(金鍾泌) 명예총재에 대한 동정심이 확산되고 있다는 판단하에 민주당과의 연합공천을 발판으로 당세를 확장한다는 전략아래 충청권과 인천, 강원 등 5개 지역 승리를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한편 중앙선관위는 지난 98년 6.4 지방선거 이후 지난달 17일까지 사전선거운동적발건수가 1천40건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10일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이강원기자 gija007@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