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들의 공공복리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필요한 도서관, 구민회관, 구민체육센터, 청소년수련시설 등 공공문화 복지시설의 확충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서울시는 최근 자치구별로 공공문화 복지시설 현황을 조사한 결과, 시민복지 5개년 종합계획에 따라 추가로 확충해야 하는 복지시설이 도서관 31개, 사회복지시설24개 등 모두 55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특히 지역적으로도 영등포구 5개, 강동구 4개 등 중구를 제외한 전 자치구가 3∼4개의 복지시설을 확충해야 하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또 한 자치구내에서도 복지시설이 특정지역을 중심으로 편중해 설치된 자치구가13개구로 집계됐으며, 더욱이 시내 전체 복지시설 235곳 가운데 65곳이 주민 접근이어려운 데다 지역적으로 편중돼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시 관계자는 "시설이 편중되고 부족한 스포츠센터, 강당, 도서관 등을 학교용지에 확충할 수 있도록 시 교육청의 `학교시설 복합화 추진계획'에 맞춰 자치구별로사업비 분담방안, 운영관리 등 구체적인 사항을 협의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영섭 기자 kimy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