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Economist 본사 독점전재 ]

경제전문가들 사이에서 앨런 그린스펀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장의 명성은 추락했다.

놀라울 정도로 절묘하고 적확한 판단으로 찬사받던 그린스펀은 미 경기 둔화의 주범으로 몰리며 비난의 대상으로 격하됐다.

미국의 경제맥박이 지난 4개월동안 멈추자 세계 각국에도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졌다.

그는 너무 오랫동안 고금리를 유지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그린스펀 약발은 먹히지 않았다.

그러나 진짜 중요한 곳에서는 그린스펀 약효가 작용한다.

바로 증시다.

지난 18일 기습 금리인하는 상승세를 타던 전세계 주가를 완전히 급등세로 밀어올렸다.

사실 FRB는 이번 금리인하를 통해 미국경제가 여전히 하강국면이라는 어두운 메시지를 던진 셈이다.

그런데도 주가는 폭발장세를 보였다.

이는 분명 그린스펀 약효와 FRB가 경기침체를 막을 수 있다는 믿음이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제 중요한 것은 2개 그룹이 그린스펀을 구제주로 믿어주는 일이다.

바로 미국 소비자들과 기업들이다.

소비자들이 일자리와 미래에 대해 과민해지면 수요는 급감한다.

최근 실시된 소비자신뢰도는 소비자들의 초조감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는 사실을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소비지출은 신뢰도의 하락만큼 줄어들지 않았다.

지금까지 미국 경기를 둔화로 이끈 주인공은 기업 투자자들이었다.

대기업들의 실적 발표시즌이 절정기에 달하면서 이들 기업의 수익급락 소식이 잇따르고 있다.

신경제, 구경제 기업 가릴 것 없이 실적악화에 시달리고 있다.

그러나 세계 최대의 인터넷 장비업체인 시스코시스템스가 갖는 상징성은 크다.

이 기업은 지난 16일 매출과 수익이 급감해 대량감원에 돌입한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3월 70달러에 달했던 시스코의 주가는 이제 17달러로 추락했다.

도대체 무엇이 잘못됐을까.

시스코는 지난해 재고가 부족해 판매를 제대로 못했다.

이에따라 곧장 재고확보에 들어갔다.

그러나 그때는 경기가 하강국면으로 돌아선 시점이었다.

재고는 눈덩이처럼 불어나 올 1.4분기 재고가 매출의 40%에 육박했다.

사실상 ''공짜''에 가까운 자금조달을 연료로 인터넷신화에 사로잡혀 시장이 무한대로 확대되리란 꼬드김에 넘어가 많은 정상적인 기업들이 2년간 기술투자의 주연(酒宴)을 진탕 벌였다.

이제 그 숙취로 고생하고 있다.

기술투자 러시로 회귀하기까지 2년여는 족히 걸릴 것이다.

그린스펀을 또다시 기습 금리인하로 내몬 요인이 무엇인지는 끝내 밝혀내지 못할 것이다.

문제는 금리인하가 과연 경제상황을 돌려놓는데 결정적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여부다.

아마도 올해 미국의 경기둔화나 침체를 막는데는 큰 역할을 하지 못할 것이다.

그린스펀이 희망하는 것은 자금조달 비용이 낮아져 기업들의 투자입맛이 되살아나는 일이다.

이런 효과가 소비자 신뢰 향상과 맞물리면 최소한 고통을 완화해줄 수는 있을 것이다.

그래서 그린스펀의 금리인하 결정은 옳은 일이다.

전세계의 눈은 미국에 쏠려있다.

하지만 이런 관심의 정도는 미국의 중요성에 비춰 볼때 좀 과장돼 있다.

미국과의 교역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나라는 멕시코 등 일부 국가에 한정돼 있다.

오히려 최대의 자본수입국인 미국에서 투자자들이 떠날 경우 그 돈은 다른 나라들에 돌아갈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영국을 포함한 서유럽은 미국침체를 견뎌낼 만큼 건전하다는 점을 증명할지 모른다.

그러나 일본과 동아시아 대부분의 국가들은 상황이 좋지 않다.

이들에게는 "경기침체의 리스크가 남아 있다"는 그린스펀의 표현이 딱 들어 맞는다.

---------------------------------------------------------------

◇ 이 글은 영국의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지 최근호(4월19일자)에 실린 사설 ''구조에 나선 그린스펀(Greenspan to the rescue)''을 정리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