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기구 개편방안이 발표 하루만에 뒤집어져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재정경제부는 지난6일 금융감독기구내 역할분담을 "금감위-감독,금감원-검사"로 명확히 구분짓고 이에따라 금감위의 기능과 조직을 확대하겠다는 개편방안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근영 금감위원장이 발표 하루만에 "현행 체제 유지"입장을 밝혔다.

특히 이 위원장은 재경부가 발표에 앞서 보내온 시안의 문구를 하나하나 직접 고쳐 발표할 것을 재경부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방안에는 금감위사무국의 정책기능 강화를 통해 금감위가 금감원의 부의안 작성 업무등도 직접 챙기겠다고 명시했으나 발표자료에서는 "부의안 검토"나 "사무국"등의 단어가 빠진 이유다.

이같은 이 위원장의 행보는 재경부의 금감위(사무국)권한 강화를 통한 지배력 확대 의지에 대해 반발한 것으로 앞으로 조직개편 과정에서 양 부처간에 상당한 마찰이 예상된다.

이 위원장은 7일 정부 개편방안 내용을 듣고 찾아온 금감원 노조 대표들에게 "현재의 금감원/금감위 골격을 최대한 유지하겠다"고 못박았다.

이 위원장은 또 "이같은 방안에 대해 재경부 장관과 대통령으로부터 비공식적인 재가를 받았다"고 말했다.

강권석 대변인은 이에대해 "금감위원장과 금감원장을 겸하고 있는 이 위원장이 기관 운영의 묘를 살려 지금까지 업무관행을 중시하겠다는 의미로 말한 것으로 안다"고 해석했다.

이 위원장은 또 금감위-금감원간 업무분장을 둘러싼 분쟁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양 기구를 완전 통합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판단,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해 통합방안을 찾도록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금감원이 이달말 또는 내달중순까지 개편방안 연구결과를 내고 이를 다시 금감위 측과 조율하는 과정을 거칠 전망이다.

조직개편 방안에 대해 이 위원장의 입장이 밝혀짐에 따라 그동안 미뤄졌던 금감원 인사도곧 시행될 전망이다.

금감원은 지난해 후반이후 임원인 부원장보가 3자리나 비어 인사 요인이 있는데다 현재 29국5실 체제인 조직도 더 간편하게 조정,군살을 빼야한다는 지적이 안팎에서 제기돼왔다.

다만 금감위와 위상 문제가 확정되지 않아 지금까지 미루어졌다.

금융감독원 고위관계자는 "국.실을 현재보다 상당폭 줄고 고참 국장도 최대 4~5명이 나가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금감원 내에서는 지난해 46년생이 퇴직했다는 점을 들어 이번에는 47년생이 외부로 배출되는 주요 기준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이미 이 모 국장이 여신전문금융협회 부회장에 내정됐고 일부는 다른 금융사 감사직 등을 타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허원순.박수진 기자 huhws@ 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