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광장] (제언) "박사 활용방안 다시 짜야" .. 김농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농주 < 연세대 취업담당관 >
인문계 전공 박사는 물론 일부 이공계 박사들이 취직을 못하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최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01년부터 2010년사이에 배출될 국내 이공계 박사는 3만9천8백명인데 이중 24.4%인 9천7백명이 전공분야의 일자리를 찾기 힘들 것라고 한다.
인문계 전공 박사학위를 가진 인재들이 일자리를 찾기란 더 어려운 형편이다.
이 때문에 국내대학원에 진학하는 인문계 학부 전공자들의 수효가 줄고 있다.
이런 현상은 학문의 뿌리인 인문학 분야의 전문 연구가들을 위축시켜 모든 산업체계의 발전원동력이 되는 상상력이 부족한 사회를 만들게 될 것으로 우려된다.
이공계의 응용학문도 인문적 상상력이 뒷받침되지 않고는 획기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신자유주의적 시각으로 신지식 창출마저도 생산 요소로 넣자는 것은 아니지만 지식을 창출하는 것은 마을의 공동 우물을 만드는 일과 같다.
우리나라에서 박사 한 사람을 배출하는데 1억~1억5천만원이 든다고 한다.
이렇게 많은 돈을 들여서 만든 박사들이 전공분야로 취직을 못하는 사회는 비전이 없는 나라다.
박사들은 인문자연예체능 등 어느 분야의 전공을 했든지 같이 신지식을 가장 많이 창출할 수 있는 존재들이다.
그러나 박사인력을 길러 놓고도 제대로 못써 먹는게 우리의 현실이다.
일년에 6천여명의 국내외 박사들이 배출된다.
이들 박사 인력이 일자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찾아 갈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면 상황은 훨씬 개선될 수 있다.
첫째 세계의 모든 연구소와 대학을 진출대상으로 정하고 이들을 각나라의 연구소와 대학 등에 진출시킬 수 있는 과학적 체계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국제적으로 박사의 채용시장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일이 필요하다.
세계적인 시야를 지닌 박사급 인력 전문헤드헌터(Head Hunter)를 지금보다 훨씬 더 다양하게 정책적으로 양성할 필요가 있다.
이들이 세계각국의 연구소와 대학과 커뮤니케이션을 하면서 박사인력들이 취업 할 수 있도록 컨설팅해 주는 일을 한다면 초기에는 쉽지 않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박사학위를 받은 각 분야의 인재들을 정부 주요조직에 지금 보다 훨씬 많이 특채하는 체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고시을 통해 고급 공무원을 충원하기보다 박사학위를 취득한 인재들 중에서 공무원 임용을 한다면 공직에 보다 많은 아이디어가 도입될 수 있을 것이다.
박사학위자들의 일자리를 제대로 만들어 주는 정책이 실효를 거둔다면 지식기반 경제를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 알림 ]
독자의 글을 기다립니다.
<> 주소 = 100-791 서울 중구 중림동 441 한국경제신문 편집국 여론독자부
<> 전화 = (02)360-4247~8
<> 팩스 = (02)360-4350
<> 인터넷주소 = readers@hankyung.com
인문계 전공 박사는 물론 일부 이공계 박사들이 취직을 못하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최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01년부터 2010년사이에 배출될 국내 이공계 박사는 3만9천8백명인데 이중 24.4%인 9천7백명이 전공분야의 일자리를 찾기 힘들 것라고 한다.
인문계 전공 박사학위를 가진 인재들이 일자리를 찾기란 더 어려운 형편이다.
이 때문에 국내대학원에 진학하는 인문계 학부 전공자들의 수효가 줄고 있다.
이런 현상은 학문의 뿌리인 인문학 분야의 전문 연구가들을 위축시켜 모든 산업체계의 발전원동력이 되는 상상력이 부족한 사회를 만들게 될 것으로 우려된다.
이공계의 응용학문도 인문적 상상력이 뒷받침되지 않고는 획기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신자유주의적 시각으로 신지식 창출마저도 생산 요소로 넣자는 것은 아니지만 지식을 창출하는 것은 마을의 공동 우물을 만드는 일과 같다.
우리나라에서 박사 한 사람을 배출하는데 1억~1억5천만원이 든다고 한다.
이렇게 많은 돈을 들여서 만든 박사들이 전공분야로 취직을 못하는 사회는 비전이 없는 나라다.
박사들은 인문자연예체능 등 어느 분야의 전공을 했든지 같이 신지식을 가장 많이 창출할 수 있는 존재들이다.
그러나 박사인력을 길러 놓고도 제대로 못써 먹는게 우리의 현실이다.
일년에 6천여명의 국내외 박사들이 배출된다.
이들 박사 인력이 일자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찾아 갈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면 상황은 훨씬 개선될 수 있다.
첫째 세계의 모든 연구소와 대학을 진출대상으로 정하고 이들을 각나라의 연구소와 대학 등에 진출시킬 수 있는 과학적 체계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국제적으로 박사의 채용시장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일이 필요하다.
세계적인 시야를 지닌 박사급 인력 전문헤드헌터(Head Hunter)를 지금보다 훨씬 더 다양하게 정책적으로 양성할 필요가 있다.
이들이 세계각국의 연구소와 대학과 커뮤니케이션을 하면서 박사인력들이 취업 할 수 있도록 컨설팅해 주는 일을 한다면 초기에는 쉽지 않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박사학위를 받은 각 분야의 인재들을 정부 주요조직에 지금 보다 훨씬 많이 특채하는 체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고시을 통해 고급 공무원을 충원하기보다 박사학위를 취득한 인재들 중에서 공무원 임용을 한다면 공직에 보다 많은 아이디어가 도입될 수 있을 것이다.
박사학위자들의 일자리를 제대로 만들어 주는 정책이 실효를 거둔다면 지식기반 경제를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 알림 ]
독자의 글을 기다립니다.
<> 주소 = 100-791 서울 중구 중림동 441 한국경제신문 편집국 여론독자부
<> 전화 = (02)360-4247~8
<> 팩스 = (02)360-4350
<> 인터넷주소 = reader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