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 주요 계열사의 주가가 하반기 들어 부진한 가운데 삼성에스디에스와 삼성전기는 상승세를 타고 있다. 인공지능(AI) 관련 사업이 부각되면서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28일 삼성전기는 4.12% 오른 14만4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달 들어 코스피지수가 9% 오르는 동안 16% 상승했다. 삼성에스디에스는 이날 장중 15만9600원까지 오르며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장 막판 상승분을 토해내며 이날은 0.06% 하락한 15만8800원에 마감했다. 올해 초와 비교하면 30%가량 높은 수준이다.
이날 주가는 기관과 외국인이 견인했다. 기관은 삼성전기를 544억원어치 순매수하며 주가를 끌어올렸다. 외국인도 43억원어치 사들였다. 기관과 외국인은 삼성에스디에스도 각각 34억원, 37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증권가는 AI 서비스 출시 모멘텀에 시장이 반응한 것으로 해석했다. 삼성에스디에스는 지난 9월 기업용 생성형 AI 솔루션인 ‘브리티 코파일럿’과 ‘패브릭스’를 공개했다. 이르면 내년 1분기 이들 서비스가 상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기는 적층세라믹콘덴서(MLCC)가 주력 사업인데, 온디바이스AI 기능이 확대되면서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온디바이스AI란 클라우드에 연결될 필요 없이 휴대폰 안에서 자체 작동하는 AI를 말한다. 전력 소비가 많기 때문에 MLCC가 더 많이 필요하다.
이규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온디바이스AI는 데이터 처리량이 급증하면서 전력 소비도 늘어난다”며 “MLCC 중장기 수요가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
국내 증시가 이달 들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올 4분기 기업 실적 전망치는 하향 조정되고 있다. 반등하는 증시 상단이 제한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개별 종목별로 실적 전망이 상향된 종목을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28일 코스피지수는 1.05% 오른 2521.76에 마감했다. 지난 10거래일 동안 코스피지수는 3.63% 올랐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끝났다는 인식과 내년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가 더해지면서다.
하지만 4분기 기업 실적 전망은 최근 들어 소폭 조정되고 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 실적 전망치가 존재하는 상장사 244개의 4분기 영업이익 합산액은 1개월 전 41조5417억원에서 27일 기준 41조1235억원으로 1% 낮아졌다.
실적 전망이 계속 낮아진다면 증시 상단이 제한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재선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상장사들의 영업이익률 개선이 점차 약화된다면 연말 증시의 수급 온기가 전반적으로 확산될 가능성은 낮아진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연말로 갈수록 이익 전망치가 상향되는 기업이 평균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거둔다고 조언했다. 하나증권이 2016년부터 2022년까지 투자전략별 12월 수익률을 분석한 결과 영업이익 추정치 상향 종목에 집중한 경우 평균 2.6%의 수익률을 거뒀다. 반면 업종 평균 대비 주가수익비율(PER)이 낮은 종목에 집중한 전략은 평균 -0.3%, 배당수익률에 집중한 전략은 -1.7%에 그쳤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최근 1개월 동안 4분기 영업이익 추정치가 가장 많이 상향된 종목은 하이트진로다. 증권사들이 전망한 4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268억원으로 1개월 전과 비교해 39% 상향됐다. 신제품 맥주 ‘켈리’가 시장에 정착한 가
최근 국내 증시가 상승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4분기 기업 실적 전망치가 하향 조정되면서 증시 상단이 제한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개별 종목별로 실적 전망이 상향된 종목을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28일 코스피지수는 1.05% 오른 2521.76에 마감했다. 지난 10거래일 동안 코스피지수는 3.63% 오르며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끝났다는 인식과 내년 반도체 업황 개선에 대한 기대가 더해지면서다.
다만 4분기 기업들의 실적 전망은 최근 들어 소폭 조정되고 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 실적 전망치가 존재하는 상장사 244개의 4분기 영업이익 합산액 추정치는 1개월 전 41조5417억원에서 27일 기준 41조1235억원으로 1% 낮아졌다. 기업들의 실적 전망이 계속 낮아진다면 증시 상단도 제한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재선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상장사들의 영업이익률 개선이 점차 약화된다면 연말 증시의 수급 온기가 전반적으로 확산될 가능성은 낮아진다”며 “중국 경기 회복 지연에 수출이 다소 더디게 회복되는 중”이라고 했다.
연말로 갈수록 이익 전망치가 상향되는 기업이 평균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거둔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하나증권이 2016~2022년 12월 국내 증시에서 투자전략별 수익률 성과를 분석한 결과 ‘영업이익 추정치 상향’ 종목에 집중한 경우 평균 2.6%의 수익률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업종 평균 대비 주가수익비율(PER)이 낮은 종목에 투자한 전략은 평균 –0.3%, 배당수익률에 집중한 전략은 –1.7%에 그쳤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최근 1개월 동안 4분기 영업이익 추정치가 가장 많이 상향된 종목은 하이트진로였다. 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