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와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이 추진하고 있는 광양항 민자유치사업 우선협상자 선정작업이 출발부터 난관에 부닥쳤다.

해양부와 한국컨공단이 13일 우선 협상자격을 부여하기 위한 민자유치 설명회에 참석한 국내 업체들이 입찰의 불공정성을 지적하며 반발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이날 설명회에 참석한 국내외 업체들은 "지난해 4월 해양부와 공단이 호주 P&O포츠사와 광양항의 배타적 조사권을 부여하는 MOU(양해각서)를 체결하고 물밑 협상을 가진 것 자체가 문제"라고 지적하고 있다.

"공개입찰은 적법한 절차를 거치기 위한 형식적인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특히 공단측이 구체적인 심사기준을 제시하지 않은 채 평가위원회를 열어 기준을 정한뒤 업체를 선정하겠다고 밝힌 것은 특정업체를 미리 정해 놓고 나머지 업체는 ''들러리''로 세우겠다는 속셈이라며 불만을 토로했다.

국내 업체의 한 관계자는 "P&O포츠사는 MOU를 체결한뒤 지난해 10월 광양항의 사업성 분석을 마치고 입찰을 준비해 유리한 입장"이라고 지적했다.

국내업체들은 이같은 점을 들어 한달내 입찰에 참여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입찰시기를 연기해 줄 것을 촉구했다.

국제컨소시엄의 경우 외국에서 서류를 준비하는데 한달이란 시간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한 외국인 참가업체 관계자는 "1조원 이상의 국가예산이 투입되는 국책사업이 투명성과 공정성을 상실한 채 추진되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믿어지지 않는다"며 "입찰을 연기해 공정한 경쟁을 보장해줄 것"을 요구했다.

또 다른 외국인 업체 관계자는 "정부가 비공식적이나마 2단계 및 3단계의 분리 입찰과 공정경쟁을 약속해 입찰에 참여키로 했는데 지켜진 게 하나도 없다"며 국가신용도까지 거론하고 나섰다.

특히 이 업체는 "일본에 있는 거점항을 광양항으로 옮기겠다는 의사까지 정부측에 전달하고 공정한 경쟁을 요구했었다"며 어이없어 했다.

이에 대해 공단 관계자는 "광양항 민자유치의 경우 참가업체가 없어 두차례나 유찰돼 외자유치 차원에서 P&O포츠와 MOU 계약을 맺었을뿐 입찰조건에 특혜는 없다"고 말했다.

장유택·부산=김태현 기자 ch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