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토큰증권) 시장이 내년도에 본격적으로 열릴 것이라는 관측에 관련 종목 주가가 크게 오르고 있다.
STO 발행업에 진출한 갤럭시아머니트리는 5일 4.23% 올랐다. 지난 1주일(11월 29일~12월 5일) 상승률이 76.57%에 달했다. 갤럭시아머니트리 지분 54%를 보유한 갤럭시아에스엠도 최근 한 주 동안 75% 뛰었다.
미술품 경매 업체인 서울옥션과 케이옥션은 지난 한 주 동안 각각 49.05%, 44.68% 올랐다. STO를 통한 미술품 투자가 활발해질 것이라는 기대가 퍼졌다. STO 플랫폼 사업에 진출한 핑거도 지난 한 주 동안 29.07% 올랐고, 관련 사업 투자를 늘리고 있는 한화투자증권도 같은 기간 17.27% 상승했다.
STO는 블록체인의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증권이다. STO 발행이 활발해지면 모든 자산을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미술품, 항공기 엔진, 경주마 등 분야가 우선 투자 대상으로 거론된다.
대형 증권사의 한 애널리스트는 “테마주가 유달리 강했던 올해 시장에서 STO 테마가 연말을 달구고 있다”며 “산업 개화에 따른 대세 상승 초입이라는 의견도 나온다”고 분석했다.
일부 전문가는 “현재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은 고평가 상태”라며 “투자를 결정할 때 유의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아직 STO를 통해 실적을 내는 기업이 없다는 점에서다. 한 사모운용사 매니저는 “중장기적 성장세가 예상되더라도 초기 과열 이후 실적이 나올 때까지 변동성을 보일 때가 많았다”며 “관련주의 현재 주가가 향후 1~2년간 전고점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
정희석 NH아문디자산운용 매니저(사진)가 운용하는 ‘NH-Amundi필승코리아’ 펀드는 국내 대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펀드다. 2019년 8월 출시 이후 현재까지 수익률은 114.44%, 올 들어 수익률은 32.31%에 달했다. 주식형 공모펀드 중 최상위권이다.
정 매니저는 지난 4일 서울 여의도 NH아문디자산운용 사무실에서 한 인터뷰에서 “국내 소부장 업체들이 올해 주가가 많이 올랐지만 여전히 저평가 상태”라며 “구조적 성장이 시작되는 단계”라고 평가했다. 그는 “과거엔 한국에서 일본 강소기업과 같은 소부장 기업은 없다고 생각했지만, 매니저로서 기업 현장을 방문해보고 기술과 경영 시스템 등을 살펴보면 기대 이상의 잠재성을 보여줄 것으로 전망되는 강소기업이 많다”고 설명했다.
이런 판단은 투자 성과로 이어졌다. 에스앤에스텍, 동진쎄미켐을 비롯해 ISC, 파크시스템스, 제우스 등 펀드가 담은 종목들이 올 들어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정 매니저는 “과거 장비 기업의 마진(영업이익률)은 20%대를 넘기 힘들었지만 이제는 30%대인 기업도 나오고 있다”며 “기업이 생산하는 부가가치가 완전히 달라졌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정 매니저는 디스플레이, 전력기기, 콘텐츠 분야도 긍정적으로 내다봤다. 정 매니저는 “구조적으로 성장하는 분야를 코어(핵심)로 삼고 사이클이 있는 섹터를 새털라이트(위성)로 삼는 ‘코어-새털라이트’ 투자를 한다”며 “현시점에서 반도체 소부장이 코어, 디스플레이·전력기기·콘텐츠는 새털라이트”라고 비유했다. 반도체 소부장에 장기 투자하면서 시장 상황에 따라 나머지 포트폴리오를 조정한다는 의미다.
그는 “구조적으로 성장하는 분야만으로 수익을 내
금융감독원이 ‘배터리 아저씨’로 불리는 박순혁 전 금양 이사에 대해 금융회사 지배구조법상 겸직 금지 조항을 위반했다는 잠정 결론을 내렸다.
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박 전 이사가 약 1년5개월간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금양의 기업설명(IR) 담당 이사로 근무하면서 투자자문사 넥스테라투자일임의 투자운용본부장을 겸직한 일에 대해 이 같은 잠정 결론을 내렸다. 현행법에 따르면 금융회사의 상근 임원은 다른 영리법인의 상시적 업무에 종사할 수 없다.
박 전 이사는 넥스테라투자일임이 작년 1월부터 금양의 IR 대행 계약을 맺은 것이라며 법률 자문에서 문제가 없다는 것을 확인받았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금감원은 박 전 이사의 소명 내용을 받고 제재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