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와 학부모 정부 등 교육개혁의 주체가 자긍심이나 사명감 등을 갖을수 있도록 분위기를 쇄신하는데 힘쓰겠다"

신임 한완상 부총리겸 교육인적자원부장관은 29일 입각 통보를 받은뒤 "현 상황에서 교육개혁의 가장 큰 걸림돌은 교사와 학부모 정부 등 교육개혁의 주체들이 개혁의 대상으로 폄하되고 있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한 부총리는 "기술 자본 정보를 제대로 활용하여 공익에 이바지 할수 있는 인간을 양성하는데 주력하겠다"며 "학원이 공익적 기능을 해치지 않는한 자율과 자치,학문의 자유에 대해 쓸데 없는 간섭을 하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과거에 통일부총리를 역임했다.

다시 부총리로 임명된 소감은.

"8년전 새로운 정부가 출범하면서 부총리로 임명됐을 때만 해도 다소 낙관적이고 기뻐하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현재는 전반적으로 결코 쉽지 않은 상황이다.

더구나 교육부가 부총리급 부처로 격상된 뒤 중책을 맡게 됐다.

두려운 마음속에 비상한 각오를 다지고 있다"

-앞으로 중점을 둘 사항은.

"나라가 잘 되려면 공익적인 사람들이 많아야 한다.

21세기에 중요시되는 것은 기술과 자본 그리고 정보이다.

공익을 위해 이같은 요소를 잘 활용하는 인간을 키우는게 무엇보다 절실하다.

이러한 공익적 인간들을 양성하는 주무 부서가 교육부이며 이들을 적절하고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기능도 담당하게 됐다.

나라가 바로 서고 부강해지기 위해 교육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졌다.

제대로 가르친 사람을 어떻게 배치하고 활용하느냐에도 역점을 두겠다"

-공익적 인간의 정의는.

"그간 지극히 개인적이고 출세지향적 인간이 뛰어난 사람으로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이런 사람들을 정말 훌륭한 사람으로 평가할수 있겠는가.

출세가 아니라 사회에 봉사할 수 있는 인간이 공익적 인간이라고 본다"

-현행 교육정책이나 현실의 문제점을 지적한다면.

"나름대로 생각이 있지만 좀더 합리적으로 검토하고 파악한뒤 문제점에 대해 얘기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현 상황에선 교육개혁이 쉽지 않다.

가장 큰 걸림돌은 교사 학부모 정부 등 교육개혁 주체를 개혁의 대상으로 깍아 내리는 분위기이다.

교육개혁주체에게 자긍심과 사명감 등을 갖도록 만들어줘야 한다.

이를 위한 분위기 쇄신이 필요하다"

-교육개혁의 방향은.

"교육개혁은 부처간 긴밀한 협력과 협의를 거쳐 이뤄져야 하며 특히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할 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내각이 팀제로 운영되는 만큼 관련 부처와 협의를 통해 교육시스템을 정비하겠다"

-임명 통보는 언제 받았나.

"오늘(29일)아침 청와대 비서실장이 직접 전화했다"

-교육부총리직을 맡긴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임명한 쪽에 물어봐야 할 질문이다.

다만 개인적 생각으로는 평생 교육자로 일해왔고 정부에서 10개월간 부총리를 지낸 행정경험이 있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부총리 수락 요청을 고사하지 않았나.

"묵직하게 수락했다"

이건호 기자 swcho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