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s Pick은 매일 아침 여의도 애널리스트들이 발간한 종목분석 보고서 중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가 변경된 종목을 위주로 한국경제 기자들이 핵심 내용을 간추려 전달합니다.👀주목할 만한 보고서삼성전자 - 회복의 신호, 사이클 전환점📈목표주가 : 7만원→8만2000원(상향) / 현재주가 : 6만200원투자의견 : 매수(유지) / KB증권[체크 포인트]=KB증권은 삼성전자 12개월 목표주가를 8만2000원으로 17.1% 상향하고 반도체 업종 최선호주로 제시.=목표주가 상향은 2분기부터 메모리 상승 사이클 진입에 따른 수급 개선과 가격 상승을 반영해 2025년과 2026년 영업이익을 기존 대비 각각 10.4%, 11.5% 상향한 35조1000억원, 48조1000억원으로 상향 조정했기 때문. 특히 3월 말부터 고객사의 재고조정이 일단락됨에 따라 2분기부터 메모리 신규 구매 수요는 큰 폭으로 증가할 전망.=최근 D램, 낸드 공급이 고객사 요청 주문량의 절반도 못 미침에 따라 공급이 수요 회복 속도를 크게 하회하며 고객사들의 러시 오더(긴급 주문)가 증가하고 있음.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4월부터 D램, 낸드 가격 인상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됨.현대건설 - 소문난 잔치에 먹을게 많았다📈목표주가 : 2만2000원→5만2000원(상향) / 현재주가 : 3만4700원투자의견 : 매수(유지) / 키움증권[체크 포인트]=현대건설의 이번 CID에서 명확한 수주전략을 제시했고, 이는 향후 회사에 대한 가시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주가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판단. 회사는 에너지 전환 선도 기업으로서의 전환을 위해 신재생,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수주를 늘릴 계획을 밝혀. 단순 발전 플랜트 시공만이 아닌 저장, 운송(송변전, 청정 암모니아 등), 활용(데이터센
현대차증권은 31일 삼성SDS에 대해 "올해 클라우드 성장률 20% 달성을 자신한다"고 평가했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8만원은 유지했다.이 증권사 김현용 연구원은 "올해 사업 목표는 매출액 14조4000억원, 영업이익 9300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4.1%와 2.1% 증가할 전망"이라며 "1분기 호실적을 반영한 올해 영업이익 전망치는 9458억원으로 목표치를 소폭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이어 "IT서비스는 전년 대비 8% 매출 증가율을 목표로 6조9000억원이 예상된다"며 "클라우드는 역기저를 딛고 올해도 20% 이상 성장률 달성에 자신하고 있다"고 밝혔다.반면 "SI와 ITO의 경우 전년 대비 매출 정체가 불가피한 업황으로 판단한다"며 "클라우드 고성장을 위해 공공, 국방, 금융을 주력으로 대외 사업을 강화할 계획으로 연간 영업이익률은 11% 후반대가 목표"라고 짚었다.또 "물류는 전년 대비 낮은 한 자리 수 매출 증가율을 목표로 7조5000억원이 예상된다"며 "영업이익률은 전년 대비 유사하거나 소폭 개선되 2.0%가 목표"라고 했다.주가 반등을 위해선 주주환원 강화 조치가 필요하다고 봤다.김 연구원은 "지난해 말 순현금은 6조원을 넘어섰고 이는 시가총액의 64%에 해당한다"며 "대규모 인수합병(M&A) 또는 주주환원 강화 조치가 주가 반등에 필수 조건으로 판단한다"고 덧붙였다.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
하나증권은 31일 진에어의 목표주가를 1만4000원에서 1만2000원으로 낮췄다. 운임일 하락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감소할 것이란 전망에서다. 저비용항공사(LCC) 여객 증가세도 대형항공사(FSC)보다 낮은 상황이다.이 증권사 안도현 연구원은 "올해 영업이익은 운임 하락으로 전년 동기 대비 8% 감소할 것으로 추정한다"며 "경쟁 강도가 거세져 국제선 여객 운임은 전년 대비 10% 감소한 1km당 100원 수준으로 예상된다"고 했다.이어 "1분기 들어 LCC의 여객 증가세는 FSC 대비 낮은 상황이다. 1분기는 LCC 성수기다. 최근 2년 영업이익 중 절반은 1분기에 발생했다"면서도 "1분기 수요 둔화는 LCC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다만 비용 증가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봤다. 작년 인건비가 24%, 공항관련비가 34% 늘어 전체 비용이 19% 늘었다. 하지만 올해는 유류비가 전년 대비 줄어 비용 상승이 상쇄될 전망이다.안 연구원은 "재무제표상 결손금을 해소하며 진에어는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배당이 가능해졌다. 이익잉여금을 배당재원으로 사용한다면 비과세 배당도 기대해볼 수 있다"면서도 "진에어는 2년 내 에어부산·에어서울과 통합을 앞두고 있기 때문에 현금을 보수적으로 관리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그러면서 "12개월 선행 기준 진에어의 주가수익비율(PER)은 4배로 주가 하락이 과도했다"며 "향후 환율이 안정화하고, 내수경기 회복 기대감이 부각되면 주가 상승 모멘텀은 충분하다"고 덧붙였다.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