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이 13일 노벨평화상을 수상하기까지는 국내외 조력자들의 헌신적인 노력이 있었다.

우선 임동원 국가정보원장 등 햇볕정책의 수립 및 집행에 관여한 인사들의 공로가 평가받고 있다.

임 원장은 외교안보수석,통일장관 등을 거치며 대북 포용정책을 입안하고 실행에 옮겨 남북관계를 전환하는데 기여한 일등공신으로 꼽힌다.

또 남북정상회담 성사 과정에서 대북특사 역할을 담당했던 박지원 전 문화관광장관의 역할도 주목받았다.

홍순영 전 외교통상장관과 황원탁 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등도 지난 98년 북한의 대포동 미사일 위기와 99년 서해교전 사태로 조성된 포용정책의 시련기를 외교력으로 극복하고 지금의 남북관계를 있게 한 숨은 공로자다.

김 대통령이 정권교체를 실현, "햇볕정책"을 펴는데 근본적으로 기여한 조력자도 많다.

민주당 권노갑 한화갑 최고위원, 청와대 한광옥 비서실장과 남궁진 정무수석, 민주당 김옥두 사무총장, 최재승 설훈 의원 등이 그들이다.

해외 인사 가운데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과 작고한 오부치 게이조 전 일본총리는 국내에서 포용정책이 중대한 도전에 직면할 때마다 김 대통령의 뒷심을 받쳐준 "원군"으로 꼽힌다.

특히 윌리엄 페리 대북정책조정관은 지난해 북한을 직접 방문, 대북 포용정책이 본격 작동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미국의 포글리에타 주 이탈리아 대사, 남캘리포니아 대학 조지 타튼 교수, 윌리엄 커 신부 등도 "유공자"로 꼽힌다.

지난해에는 제프리 톰슨 뉴질랜드 국민당 당수, 게리 우다드 호주 멜번대 교수, 덴 히데오 일본 참의원 등이 김 대통령을 노벨상 후보로 추천, 김 대통령의 지명도를 높이는데 일조했다.

김남국 기자 n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