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자동차 매각이 딜레마에 빠졌다.

정부와 채권단은 최근 현대의 단독입찰을 허용한데 이어 분할매각,현대 GM 외에 다른 업체 참가허용 등을 잇따라 발표하고 있지만 입찰후보자들의 호응을 받지 못하고 있어 정부의 조기매각 스케줄에 큰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한시적인 공기업화나 위탁경영을 통해 부실요인을 최대한 제거한 다음 재매각하는 ''제3의 해법''이 거론되고 있다.

엄낙용 산업은행 총재는 21일 "대우차 일괄매각이 원칙이지만 인수자가 원할 경우 분할 매각도 가능하며 GM 현대 다임러 외의 업체들도 인수제안서를 제출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대우차 조기매각을 위해 기존 입찰구도를 전면 수정한 것으로 풀이되지만 현실적으로 GM과 현대-다임러크라이슬러 컨소시엄 외에 대우차 입찰에 참가할 업체는 없다는게 업계의 분석이다.

증권가 일각에선 삼성 참여가 거론되고 있지만 삼성은 전혀 관심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현재로선 실현가능성이 희박해 보인다.

국내 전문가들은 "국제 신용평가기관들과 투자은행들은 한국정부에 대해 ''조기매각''을 종용하는 메시지를 계속 보내고 있어 GM이 대우차를 터무니없이 싼 값에 가져갈 가능성이 없지 않다"면서 "집이 팔리지 않으면 ''리모델링''을 해서 이사철에 파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학계와 자동차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선(先) 정상화, 후(後) 매각'' 의견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들은 △법정관리 △한시적 공기업화 △위탁경영 등을 통해 대우차에 대한 강력한 구조조정을 단행한 뒤 수익성이 높은 공장들을 중심으로 선별 정상화나 매각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런 방안은 기아자동차나 동아건설 문제를 처리할 때 정부가 ''경영관리인''을 투입, 구조조정과 정상화의 기틀을 마련한 전례도 있어 설득력이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정갑영 연세대 교수는 "대우차 문제는 정부가 산업정책적인 기조부터 확고하게 세워놓은 다음 전면에 나서 해결할 수밖에 없는 사안"이라고 말했다.

조일훈 기자 ji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