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9일 북측에 남북장관급 회담을 오는 27일 서울에서 열자고 제의하면서 취재기자단 수를 10명으로 제시했다.

지난달 금강산지역에서 열린 남북 적십자회담때의 6명보다는 다소 늘어났지만 회담을 원활히 취재,보도하기에는 여전히 부족한 규모다.

정부가 언론의 취재활동 보장에 너무 소극적이지 않느냐는 지적이 나올만도 하다.

이날 김형기 통일부 정책실장은 기자간담회에서 기자단 규모와 관련,"장관급회담이 서울과 평양을 오가며 열릴 경우 방문하는 측의 기자단 수를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회담이 남측 제의대로 서울에서 열리면 북측 기자들은 10명만 오라는 얘기다.

또 다음 회담이 평양에서 열릴 경우 남측에서 갈 수 있는 기자단도 10명으로 제한된다.

때문에 이번 회담의 경우 서울에서 열리는데도 북측 기자단 수를 소규모로 제한할 필요가 있느냐는 의문이 생긴다.

현실적으로 북측이 남한 기자단의 대규모 방북을 꺼리는 만큼 방북 기자단은 어느 정도 제한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북측에서 내려오는 기자단 수까지 미리부터 제한하는 것은 납득이 가지 않는 것이다.

오히려 북측 기자단의 참여를 충분한 규모로 보장해주고 얼마나 내려올지는 북측이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낫지 않느냐는 얘기다.

또 평양에서 다음 회담이 열릴 경우 남측 기자단이 10명만 가게 되는 것도 문제다.

이 숫자로는 공동취재단을 운용해도 회담을 원활하게 취재,보도하기 어렵다.

회담취재의 경우 방송은 통상 회담의 양측을 동시에 찍기 위해 적어도 2개의 동영상 취재팀이 필요하기 때문에 최소 6명은 있어야 한다.

신문의 경우도 사진기자 1~2명이 참여하면 기사를 직접 쓰는 취재기자는 2~3명에 불과하다.

이같은 지적에 대해 김 실장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관련 부처들이 협의해 정한 숫자"라며 "북측과는 사전 협의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특히 "김대중 대통령이 어제 국무회의에서 지시한대로 "차근차근히,조용하게,실사구시적으로" 대북정책을 추진하자는 것"이라고 덧붙이기까지 했다.

남북정상회담 때처럼 기자단이 50명씩 오갈 경우 생기는 부담요인이 크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설명은 아무리 봐도 요령부득이다.

"대북정책을 조용조용하게 차근차근 추진하라"는 김 대통령의 말은 남북정상회담 직후 정부 당국자들이 흥분을 감추지 못한 채 앞다퉈 후속조치에 관해 언급하는 바람에 초래됐던 혼선을 경계하는 것이었다.

통일부는 박재규 장관이 여러차례 앞서나갔다가 청와대로부터 주의까지 받은 상태다.

기자단 수를 줄여서 조용하고 차분히 추진될 회담이라면,아예 기자단을 배제하고 밀실에서 하는게 나을 것이다.

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