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의사들이 폐업을 강행하겠다고 나섰다.

벌써 며칠전부터 대형 종합병원들 조차 신규환자를 받지않고 기존 입원환자들에게도 퇴원을 종용하는등으로 말썽이 한둘이 아니었는데,오늘부터 폐업이 강행될 경우 어떤 상황이 빚어지게 될지...

폐업신고-반려및 진료개시명령-불복-사법처리로 갈등이 이어지면서 사실상 진료공백상태가 장기간 지속될 우려도 떨쳐버리기 어려운 국면이다.

도무지 있을 법 하지도 않은 상황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우리는 환자를 볼모로 삼는 꼴인 사상초유의 의료대란을 피하려면 지금이라도 이해당사자들이 모두 냉정을 되찾아야 한다고 본다.

지금 이 시점에서 다시 의약분업을 연기하자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이미 1년간 시행을 늦춘 경험으로도 알 수 있듯이 연기가 해결책일 수 없다.

과다투약으로 인한 국민건강상의 문제를 해결하려면 의약분업외에 달리 방법이 없다는 것은 이미 일치된 인식이다.

의약분업 주장을 처음 제기한 것이 의사회쪽이라는 점도 되새길 필요가 있다.

어쨌든 의약분업은 반드시 실현해야할 과제이지 집단행동에 쫓겨 되물릴 성질의 것이 아니다.

시행을 10일 앞둔 지금까지 이해집단의 다툼을 제대로 조정하지 못한 의료행정은 질타받아 마땅하다.

그러나 의약분업 실시후 3개월간 병원과 약국 경영실적을 분석해 처방료와 조제료를 재조정하는등 보완조치를 취하겠다는데도 폐업을 강행하겠다는 것은 더더욱 비난받아 당연하다.

보건복지부에 대한 의사회쪽의 불신이 어느 정도인지를 읽을 수 있게 하는 일면도 없지않지만,국민건강은 차치하더라도 환자를 생각하는 인술인의 자세와는 너무도 거리가 있다.

의사들은 즉각 본연의 자세로 돌아와야 한다.

폐업방침을 철회해야 할 것은 물론이고 의약분업이 차질없이 시행될 수 있도록 협력해야 한다.

대부분의 약국에서 취급하지 않는 희귀한 약으로 처방전을 끊어 환자가족들이 약을 찾아 헤매도록 하려는 불순한 의도 또한 절대로 용납될 일이 아니다.

분업을 수용하기 위한 약사들의 준비태세도 완벽한지 의문이다.

종합병원 처방전에 나오는 약종류가 1천1백종인데 대부분의 약국에서 취급하는건 4백종에 그친다는 지적등은 그런 걱정을 더하게 한다.

행정당국은 약품 물류시스템을 점검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등 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주사제를 의약분업 예외대상(병원에서 직접 사용가능)으로 추가한 조치는 환자입장에서 볼 때 잘한 일이다.

보건복지부와 의약업계는 국민을 의식하고 의약분업이 차질없이 정착될 수 있도록 협력해야할 책무를 잊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