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투자가들이 공모주의 장기보유를 외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모주 수요예측때 3개월이상 장기보유를 확약하는 기관투자가에 대해서는 물량배정 등에서 메리트를 부여하고 있으나 이를 약속하는 곳은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14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지난 3일 수요예측을 실시한 이오리스의 경우 기관들의 치열한 경쟁으로 공모가가 당초 희망가(5천원)의 4배에 육박하는 1만8천원으로 치솟았다.

하지만 이날 참여한 8백15개의 기관투자가중 3개월 이상의 장기보유를 제시한 곳은 단 두곳에 불과했다.

이오리스의 주간사인 SK증권 관계자는 "보유기간을 1개월 미만으로 제시한 기관들이 대부분이었고 투신 등 일부가 1개월 이상을 적어냈다"고 말했다.

이오리스 외에 최근 수요예측을 실시한 이루넷 SM엔터테인먼트 등도 보유기간을 1개월로 써낸 기관투자가가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올초 시장의 수급상황 등을 개선하자는 취지에서 "기관투자가의 공모주 보유기간별 가중치 부여기준"을 마련, 기관들의 신규등록 주식 장기보유를 유도하고 있다.

기관투자가들이 보유기간을 1개월 미만으로 제시할 경우 배정물량의 산정시 적용되는 가중점은 3개월 이상의 5분의 1에 불과하다.

기관투자가들이 공모주를 장기보유토록 유도, 시장을 안정시키겠다는게 이 제도의 기본 취지나 기관들이 이를 외면하고 있는 것.

이에 따라 공모주의 50%를 배정받는 기관투자가들이 단기간에 주식을 처분, 시장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수요예측에 참가했던 H증권 주식파생팀 관계자는 "신규종목들이 대부분 3주에서 1개월 정도 상승곡선을 탄후 내리막길을 걷는다"며 "3개월이상 장기보유하기에는 위험부담이 너무 크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대우증권 기업금융팀 관계자는 "신규종목의 하락은 대부분 기관투자가들이 성급하게 물량을 던지기 때문"이라며 "기관들이 일반투자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물량배정에서 특권을 누리는 만큼 단기매도는 자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손성태 기자 mrhand@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