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총선은 여러면에서 유권자들의 관심을 끈다.

그 하나는 민주당과 한나라당중 어느 당이 제1당을 차지할 것인가이다.

그 결과로 총선후 진행될 정계개편의 향배를 가늠할수 있기 때문이다.

총선 직전 탄생한 민주국민당이 영남권에서 선전할지, 정치권 세대교체의 바로미터가 되는 386세대는 몇명이나 금배지를 달지도 관심거리다.

투표율이 총선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현실을 감안할때 그 결과도 유의깊에 볼만하다.

이밖에 시민단체의 낙선운동이 총선에 미친 영향, 경제인들의 여의도 입성 여부 등도 주시할 만한 관전 포인트다.

---------------------------------------------------------------

정치개혁의 열망을 담아 출마한 "386세대"가 얼마나 원내에 진출할지 관심을 모은다.

특히 민주당(21명)과 한나라당(16명)은 386 출마자를 최대 접전지인 수도권에 집중 배치, 이번 총선을 승리로 이끈다는 전략이다.

이들은 조직과 자금의 열세를 딛고 "세대교체"를 화두로 선전하며 곳곳에서 이변을 연출하고 있다.

민주당에서는 김민석(영등포을) 후보가 재선을 바라보고 있고 임종석(성동) 장성민(금천) 전용학(천안갑) 후보 등이 비교적 강세를 보이고 있다.

송영길(인천계양) 이인영(구로) 허인회(동대문을) 우상호(서대문갑) 후보 등도 치열한 경합을 벌이며 막판 역전드라마를 기대하고 있다.

이승엽(동작갑) 배선영(서초갑) 후보 등 30대 "전문가" 그룹은 야당의 거물들과 맞서 버거운 싸움을 하고 있다.

한나라당에서는 오세훈(강남을) 원희룡(양천갑) 후보가 우세를, 이성헌(서대문갑) 김영춘(광진갑) 남경필(수원팔달) 황영철(홍천.횡성) 후보 등이 경합을 보이며 선전하고 있다.

정태근(성북갑) 오경훈(양천을) 고진화(영등포갑) 후보는 여당 거물에 맞서 힘든 선거전을 치르고 있다.

자민련에서는 이창섭(대전유성) 김윤수(파주) 후보가, 민국당에서는 김양수(부산진갑) 김용철(부산남) 후보가 막판 추격전을 펼치며 기세를 올리고 있다.

정태웅 기자 redael@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