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거래소 시장과 코스닥시장의 차별화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정확하게는 증권거래소시장의 위축이 심각하다.

거래소시장의 거래대금은 지난 8일이후 코스닥시장에 추월당했다.

21일에도 마찬가지였다.

코스닥시장의 거래대금은 거래소시장의 거의 2배에 육박했다.

거래량도 엇비슷해 졌다.

거래수준만 보면 누가 "형"이고, 누가 "아우"인지 도무지 알 수 없을
정도다.

전문가들은 거래소시장의 급전직하는 바람직하지 않다며 어떤 식으로든
거래소시장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왕 정부가 거래소시장 활성화 방안마련에 착수한 이상 가급적 시행시기를
앞당겨야 한다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들은 구체적으로 <>상장기준완화를 통한 유망기업및 외국기업 유치
<>거래시간 연장및 가격제한폭 확대 <>물량축소및 자사주매입 유도 <>외국
증권거래소와 전략적 제휴및 외국 증권사 회원가입문호 확대 등의 조치를
시행해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 시장차별화가 심화된다 =코스닥 거래대금은 지난 8일 처음으로 거래소
거래대금을 추월했다.

이런 현상이 연10일째 계속되고 있다.

21일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코스닥 거래대금은 5조6백59억원으로 거래소 거래대금(2조6천4백7억원)의
2배에 육박했다.

거래대금뿐만이 아니다.

거래량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지난 17일 코스닥 거래량은 2조1천9백24만주로 거래소 거래량
(2조1천2백42만주)을 추월했다.

물론 지난 18일부터 다시 거래소시장의 거래량이 코스닥시장의 거래량보다
많아졌지만 역전은 시간문제라는게 대부분 시장참가자들의 시각이다.

<> 실질적인 거래소 활성화 방안을 만들어야 한다 =거래소시장의 급격한
위축에 대해선 정부도 우려감을 갖고 있다.

이미 금융감독위원회와 증권거래소를 중심으로 대책마련에 들어갔다.

전문가들은 이번 기회에 거래소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는 획기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특히 정부의 방침이 오락가락해서는 곤란하다고 지적한다.

대표적인 예가 상장기준 완화다.

정부는 거래소 상장기준을 완화해 외국기업및 경쟁력 있는 국내 기업을
거래소에 유치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21일 정부관계자는 "거래소시장의 상장기준을 완화하는건 곤란하다"
고 말해 찬물을 끼얹었다.

이에 대해 시장참가자들은 거래소시장의 상장 기준을 코스닥수준으로 완화
하지는 못하더라도 유망기업들이 들어올 수 있도록 진입기준을 완화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예컨대 현재 3년이상 흑자를 내야만 상장자격이 주어지는 기준을 "2년이상
흑자"로 완화해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그래야만 성장성이 있는 유망 기업들의 발길을 거래소로 되돌릴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시장참가자들은 특히 외국기업의 거래소상장 허용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물론 현재도 외국기업들의 거래소사장이 가능하다.

그러나 국내기업에 비해 더 까다로운 요건을 갖춰야해 아예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

관계자들은 우선 투자자를 유인할만한 상품이 있어야 경쟁력이 강화되는
만큼 유망 기업을 유치할수 있는 제도개선이 시급하다고 밝히고 있다.

이와함께 지주회사의 상장 추진 등 시장구조의 다원화를 꾀해야 할 것으로
얘기된다.

거래시간연장도 조만간 결론을 내야할 것으로 지적된다.

정부도 물론 거래시간을 연장하기로 방향을 잡고 있다.

그러나 폐장시간을 오후 3시에서 4시로 연장할 것인지, 코스닥시장처럼
점심시간을 없앨지를 두고 오락가락하고 있다.

이에대해 시장참가자들은 야간거래도 검토되는 시점인 만큼 거래시간 연장
을 더 이상 미룰수 없다며 조만간 결론을 내려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아울러 외국증권거래소와 제휴를 통해 외국기업의 상장을 유도하고
증권거래소 문호를 개방, 외국 증권사를 거래소시장에 적극 유인함으로써
시장의 활성화를 꾀해야 할 것으로 얘기되고 있다.

이를 위해선 평균 4백억원 수준인 거래소 회원가입금을 10분의 1 수준으로
낮추고 인접국가 증권시장과 제휴및 연계를 구체화해할 것으로 지적된다.

<> 기업들의 노력도 중요하다 =투자자 유치를 위한 상장기업들의 노력도
중요한 것으로 지적된다.

외국의 우량기업처럼 이익이 많이 남는 기업의 경우 자사주를 매입, 소각
하는 방법을 통해 주주가치를 극대화하거나 가능한한 배당률을 높이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내기업에서는 삼성전자와 담배인삼공사 등이 자사주 매입후 소각을 검토
하고 있으나 아직 확정된 기업은 없는 실정이다.

이밖에 거래소 상장기업들은 가능한한 자사주 매입 등을 통해 주가관리에
나서야 하며 배당률을 끌어 올리려는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 하영춘 기자 hayoung@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2월 22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