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는 다른 부품들과 달리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안정성이 매우 중요하다.

고장이 날 경우 중요한 데이터까지 함께 날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HDD에서 안정성과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은 속도다.

컴퓨터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 하드디스크에서 데이터를 끊임없이 읽어들이기
때문이다.

이번 벤치마크는 IDE방식의 제품들중 최고 사양인 7천2백rpm (분당 회전수)
급의 HDD 3종을 비교해 보았다.


<> 제품특성

< 퀀텀 파이어볼KX >

퀀텀에서 나온 기존 제품과 모양이 비슷하지만 HDD 아래쪽에 노출되어 있던
케이블을 깔끔하게 처리했다.

버퍼는 5백12KB로 다른 제품보다 다소 작다.

그러나 퀀텀측은 대부분의 IDE제품군이 5백12KB 이하로도 충분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고 장담한다.

평균 탐색시간은 8.5밀리초(ms)로 가장 빠르다.


< 맥스터 다이아몬드 맥스플러스 6800 >

맥스터 특유의 모양을 갖고 있다.

버퍼와 회전속도는 2MB와 7천2백rpm으로 IDE방식의 하드디스크중에서는
최고다.

버퍼는 1백MHz의 SDRAM을 사용했다.

DSP칩과 RISC칩을 사용했으며 맥스터의 듀얼웨이브 기술을 채용해 성능을
극대화시켰다.

쇼크블록 기술과 맥스세이프 기술을 채택해 제품의 안정성도 높다.


< 웨스턴디지털 엑스퍼트136BA >

IBM과 공동으로 개발한 제품으로 외형이 IBM의 하드제품과 비슷하다.

제품의 밑면 기판에는 먼지와 오물 등으로부터 칩을 보호하기 위해 플라스틱
이 덮혀 있다.

웨스턴디지털이 개발한 대부분의 하드디스크는 데이터라이프가드 기술을
채용해 시스템 시동 후 8시간 정도가 지나면 자체적으로 하드디스크의 오류를
검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버퍼는 2MB, 회전속도는 7천2백rpm이다.


<> 제품테스트

3개 제품은 대부분의 항목에서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웨스턴디지털사 제품이 골고루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맥스터 제품은 수치상으론 그다지 좋게 나오지 않았지만 체감 속도는 가장
빠르고 부드러웠다.

퀀텀 제품은 열이 많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액서스 타임은 가장 빨랐다.

진동은 세가지 제품 모두 회전속도가 7백2백rpm이어서 5천4백rpm 짜리
제품에 비해 심한 편이었다.

< 문경열 K벤치 팀장 Biryong@ kbench.com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2월 7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