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는 지난 2년간 세계경제를 위기에서 구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였다.

긴급구제자금을 지원하고 금융시스템을 개혁했다.

정책에서도 공조체제를 갖추고 새 국제금융회의 무대도 만들었다.

이같은 국제사회의 대응은 규모와 범위에서 사상 최대였다.

이에대해 아시아등 위기지역은 구조개혁과 성장회복으로 화답했다.

덕분에 위기는 사라졌다.

<> 자금지원 =집행됐거나 계획중인 위기국에 대한 국제사회 지원금은
2천억달러가 넘는다.

이중 아시아에 대한 지원액만 1천2백억달러에 이른다.

러시아 브라질 한국 태국 인도네시아 에콰도르에 선진7개국(G7)과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IBRD)이 주었거나 주기로 한 자금이
1천5백억달러쯤 된다.

여기에 일본정부의 "미야자와플랜(구상)" 자금도 3백억달러다.

지난해 아.태경제협력체(APEC)정상회의에서는 미국과 일본 세계은행
아시아개발은행(ADB)이 1백억달러달러의 지원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 정책협조및 기구신설 =대규모 지원금이 제대로 효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주변 경제여건을 다독거리는 국제사회의 정책협조도 활발했다.

그중에서도 국제금융시스템을 개선하고 새로운 국제금융협력기구를 만들었다

긴급대출선도 새로 마련했다.

이중 일부 대책은 득실과 실효성에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그렇지만 국제사회의 위기대응책은 노력 그 자체만으로도 세계금융시장을
안정시키는데 일조했다.

정책공조의 대표적 사례는 G7을 중심으로 한 금리인하.

작년 9월9일 일본의 콜금리인하를 시발로 미국이 9월29일등 세차례 금리를
내려 국제금융시장의 안정을 이끌었다.

G7재무장관회담과 정상회담도 열려 일본의 경기대책과 아시아위기 당사국
들의 경제개혁을 촉구했다.

국제금융시스템의 안정방안도 모색했다.

각종 회담에서는 결실도 맺어져 올연초에는 IMF와 세계은행, 국제금융전문가
들과 각국 정책당국자들이 참여하는 금융안정포럼이 만들어져 정기적인
회의를 갖고 있다.

또 G7과 주요 개도국의 각료회담인 "주요 20국(G20)"회의가 창설됐다.

오는 12월 베를린에서 열리는 첫 회의에서 국제금융시장의 안정및 개선방안
이 논의될 예정이다.

IMF는 위기의 징후가 있는 나라들이 미리 자금을 가져다 쓸수 있는 긴급대출
라인(CCL)을 신설했다.

3년기한으로 액수에 상관없이 쓸수 있으나 실효성은 의문시되고 있다.

이 돈을 가져다 쓰면 "우리경제에 문제가 있다"고 스스로 실토하는 셈이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연초에 설립됐지만 아직 CCL을 이용한 국가는 없다.

< 이정훈 기자 leehoon@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2월 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