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그룹의 구조조정 회오리속에서 그룹계열사의 감자(자본금 감축) 가능성
이 제기돼 증권가에 논란이 일고 있다.

현실적으로 감자는 주식시장에서 대형 악재로 비춰지고 있기 때문에 특히
대우그룹계열 상장회사의 소액주주들은 촉각은 곤두세우고 있다.

증권업계 전문가들은 대우그룹 계열사별로 감자가 있을 수도 있다는 얘기가
나온 것 자체가 대우그룹 종목에 충격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A증권 투자분석팀장은 "대우그룹주에 대한 감자를 거론한 "진원지"가 다름
아닌 이헌재 금융감독위원장이어서 정부의 방침이나 마찬가지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이 팀장은 따라서 "일단 주식시장에서는 대우주의 악재로 받아들일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일반투자자들의 최대 관심사인 어떤 계열사가 감자를 당할 것인지로
논의 촛점을 맞추면 문제가 약간 달라진다.

우선 감자의 일반적인 기준인 자본금 잠식 여부로 따지면 현재로서는 대우
그룹 계열사인 감자대상이 없다는게 대우측의 주장이다.

대우관계자는 25일 "최근결산인 98사업연도말을 기준으로할때 부채가 자기
자본보다 많아 자본금이 잠식된 계열사는 공식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에대해 증권가 일각에서는 대우그룹의 구조조정(계열사 매각등)을 원활히
하기 위해 자본 잠식이 아니더라도 부채비율을 낮추기 위한 감자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즉 채권단의 출자전환을 위한 사전정지 작업의 하나로 감자가 이뤄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증권전문가들은 출자전환을 위한 감자의 경우에도 상장회사엔 적용하기가
기술적으로 힘들다고 밝히고 있다.

감자는 주총의 특별결의(3분의 2 찬성필요) 사항으로 소액주주들의 반발이
거센 안건을 주총에서 통과시키려면 상당한 무리가 뒤따를 수 있다는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대우그룹 계열사의 경우 다른 그룹들보다 특히 소액주주 지분이 높은 편이기
때문에 감자 결의가 아주 힘들 것이라는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이런 점에서 대우자동차같은 비상장회사가 아닌 상장회사의 대한 감자는
현실화되기가 어려울 것으로 보는 전문가들이 적지 않다.

또한 실제로 채권단의 출자전환등이 빠르면 4.4분기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여
당장 대우그룹 소액주주들이 감자에 대해 공포를 대응할 필요는 없다는게
전문가들의 얘기다.

< 양홍모 기자 yang@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7월 26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