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금리가 지속되면서 은행이용 고객들도 고위험 투자를 늘리고 있다.

은행들은 지난 4월12일부터 단위형 금전신탁을 팔기시작해 5월말 현재 모두
8조4천4백50억원의 시중자금을 끌어들였다.

이중 운용자산의 30%까지 주식에 투자하는 성장형 상품에 5조2천7백89억원
의 자금이 몰려 전체 단위형 신탁의 62.5%를 차지했다.

주식에 투자하지 않는 안정형 상품은 2조1천6백81억원(25.7%)을 끌어들이는
데 그쳤다.

안정형은 단위형 금전신탁 판매 초기에 큰 인기를 누렸으나 갈수록 주춤해
지는 양상이다.

조흥은행 이금수 대림동 지점장은 "자금을 채권투자나 대출등으로 운용(안정
형의 경우)한다고 알려주면 아예 그 상품을 기피하는 고객도 많다"고 말했다.

신한은행 황구연 연신내 지점장은 "상당수 고객들이 은행을 통해 주식에
간접투자하는 것에 매력을 갖고 있는 것 같다"며 "이들 고객의 기대수익률은
두자릿수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고객들이 성장형을 선호하자 일부 은행들은 아예 안정형 판매규모를 줄이거
나 중단하기도 한다.

하나은행은 고객성향을 분석, 처음부터 성장형만 취급하고 있다.

은행들이 영업점에 고시하는 기준가격을 비교하더라도 성장형의 기준가격이
더 높다.

한빛은행이 판매한 단위형 금전신탁 1호의 기준가격은 이날 현재 <>안정형
1,012.95원 <>안정성장형 1,014.42원 <>성장형 1,028.95원이다.

기준가격이 높을수록 수익률이 높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성장형의 경우 고수익을 얻을 수 있으면서 위험도 높다
고 설명한다.

때로는 원금을 까먹을 수도 있다.

성장형은 주가상승이 기대될 때 가입하는게 유리하다.

< 이성태 기자 steel@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6월 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