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이상 경제기획원에서 잔뼈가 굵었으나 보건복지부차관과 노동부장관을
역임하는 등 비 경제분야에서도 두루 경험을 쌓았다.

정계와 재계에 발이 넓은 것도 이 때문이다.

청와대 경제수석을 지낸 한이헌 이석채씨와는 행정고시 동기(7회)로 3-5년
정도 늦게 청와대에 입성하는 셈.

그는 복지부 시절 한.약분쟁과 복지제도 개혁 문제로 장관이 4차례 바뀌는
와중에 실무책임자로 그 공백을 무난히 메우는 능력을 발휘했다.

그는 노사관계와 관련 "노동계의 발언권이 선진국 수준으로 강해져야 한다"
고 주장해 왔다.

노동계가 사용자측에 밀린다는 현실을 불만스럽게 생각했다.

지난 98년 1월 당시 김대중 대통령 당선자에 노사정위원회 설치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한 것도 그다.

"친 노동자"임을 주장해온 그의 이같은 지론 덕분에 "국민의 정권"이
들어선후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의 공동 추천으로 노동부장관에 유임됐다.

YS 시절 장관중 유일하게 유임되는 진기록의 장본인이 된것이다.

그는 거시경제론 보다는 분배중심 경제정책에 관심이 높다.

당초 경제기획원 시절에는 "안정적 성장"을 주장하는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지난 90년 경제기획원 경제기획국장으로 "경제 7차 5개년 계획 실무책임자"
를 맡았을때 노사안정과 기업의 설비투자촉진을 최우선책으로 내세운게
이를 말해 준다.

그러나 노동부와 복지부를 거치면서 "사회복지" 마인드가 강해졌다는게
주위의 설명이다.

때문에 재벌개혁에 대해서는 상당히 적극적이란 평을 받고 있다.

DJ 정권이 들어선후 그 경향이 보다 강해졌다는게 경제계의 시각이다.

그는 과거 경제기획국장 시절 대우조선이 합리화 방안으로 대우 본사
건물을 매각하려다 이를 취소하자 결정 번복을 끝내 승인하지 않아 주위
동료들의 애를 태운 일화를 갖고 있어 그 소지는 과거에도 있었다.

김대중 대통령과는 전남 목포가 고향이란 점 외에는 별다른 인연을 갖고
있지 않다.

다만 정권 교체시 노동부의 현안을 정연한 논리와 명쾌한 말투로 브리핑해
김대중 대통령으로부터 상당한 호감을 얻었으며 노사 문제 처리에도 합격점
을 받아 오늘에 이른 것으로 알려졌다.

< 김수섭 기자 soosup@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5월 26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