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브리지캐피털은 제일은행을 인수한후 2년안에 새로 부실화되는
여신을 정부에 파는 권리(풋백옵션)를 포기하기로 했다.

정부 관계자는 뉴브리지가 협상시한이 끝나기 직전인 지난 12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새로운 제안을 해와 정밀 검토중이라고 21일 밝혔다.

뉴브리지의 새 제안은 작년말 교환했던 양해각서(MOU)와 전혀 다른 것이다.

협상에 돌파구가 열릴지 주목된다.

뉴브리지는 제일은행 인수직전 금융감독위원회와 합의해 부실여신을
성업공사에 팔되 인수후에는 모든 여신을 5년간 끌어안고 가겠다고 제안했다.

양해각서에는 인수후에도 2년간 새로 부실화되는 자산을 뉴브리지가 정부에
팔수있게 돼있다.

뉴브리지는 명백한 부실여신 외에 모든 여신을 갖고 가면 제일은행을 인수한
후에도 상당수 기업들을 털어낼 것이라는 그간의 불안감을 씻을수 있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모든 여신을 안고가는 대신 정부가 일정한 보증을 하도록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뉴브리지는 또 제일은행이 일정한 수준이상의 수익을 내면 수익의 일부를
정부에 주겠다고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헌재 금감위원장은 새 제안수용여부에 대해 "아무 얘기도 해줄수 없다"고
즉답을 피했다.

금감위는 재정경제부 청와대및 전문가들과 새 제안에따라 공적자금이
얼마나 들어갈지, 거래기업들은 어떤 영향을 받을지를 면밀히 검토중이다.

아직 어떤 쪽으로도 기울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제일은행 매각은 정부가 넣어야할 공적자금이 과다하는 지적과 뉴브리지가
장기금융투자자가 아니라는 여론 등에 밀리면서 늦어져 왔다.

특히 한때 뉴브리지가 주장한 국제기준에 의한 자산분류기준이 적용되면
공적자금 투입규모가 4조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매각작업이 진진되지
않았다.

또 이미 부실화돼 매각직전 성업공사로 넘어가는 여신을 뺀 부실징후여신을
뉴브리지가 털어낼 것이라는 우려가 걸림돌로 작용했다.

부실징후여신은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 대상이나 일부 재벌 여신 등이다.

이들 기업은 제일은행이 뉴브리지에 넘어간후 거래가 끊길 것이라는 불안감
을 느껴 왔다.

새 제안은 이런 불안감을 최소화하면서 정부가 초기에 넣어야 할 공적자금
을 최소화는데 촛점이 맞춰져 있다고 볼수 있다.

전문가들은 제일은행 매각이 늦어질 경우 제일은행 가치하락을 우려하고
있다.

공적자금투입을 최소화하면서 가능한한 높은 가격을 받고 파는게 중요
하지만 매각이 늦어지는데 따른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금융계 관계자는 "제일은행을 뉴브리지에 팔더라도 정부가 49%의 지분을
갖게 된다"며 "은행이 잘 되면 정부가 투입한 자금을 회수할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공적자금투입이 적은게 좋지만 그 목적 하나만을 위해 더
많은 것을 잃는 실수는 저지르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 고광철 기자 gwang@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5월 22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