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주말레슨은 "그린사이드 플레이".

그 원칙들을 정리한다.

그린사이드 플레이에서 가장 신경을 써야 하는 것은 클럽선택.

그린사이드 칩샷은 방향보다는 거리조절이 관건이다.

짧은 샷이니만큼 방향은 자동적으로 맞춰지게 돼있다.

따라서 거리만 맞으면 붙거나 들어가는데 그 조절이 바로 클럽선택에 달려
있는 것.

다음이 "지형과 핀위치에 따라"특히 주의해야 하는 상황들이다.

<> 왼발 오르막 지형에다 핀위치가 그린 반대편으로 먼 경우

=이때는 평소보다 로프트가 적은 클럽으로 쳐야 한다.

왼발쪽이 오르막이면 그 지형상의 요인으로 헤드가 올라가며 볼과 접촉한다.

헤드가 올라가는 형태의 스윙이 되면 로프트는 증가한다.

따라서 평소에 쓰던 샌드웨지나 피칭웨지를 그대로 쓰면 볼이 "붕" 뜨는데
그치는 것.

그러면 대부분 샷이 짧아 진다.

결국 이경우는 경사도에 따라 9번에서 7번 아이언까지 내려 잡으며 칩샷을
해야 한다.

클럽선택으로 지형에 따른 로프트증가를 상쇄하며 거리를 맞춰야 하는 것.

<> 왼발쪽 내리막에 핀위치가 가까운 경우 =칩샷을 해야하는 쪽의 그린에
핀이 위치하면 볼이 그린에 떨어져 구를수 있는 공간이 아주 작다.

따라서 보통 하던대로 그린에 볼을 떨어뜨리면 홀을 훨씬 지나치게 된다.

더욱이 내리막 칩샷이기 때문에 로프트는 감소한다.

이는 런이 많다는 뜻.

공간도 없는데 런이 많으면 붙일 재간이 없다.

이럴때는 볼을 그린에 떨어뜨리는게 아니라 그린근처 페어웨이에 떨어뜨려
거리를 조절하는게 좋다.

페어웨이 잔디에 볼을 떨어뜨리면 그 잔디의 저항에 의해 볼의 힘이 죽는다.

몇번 튀다가 그린에 도달해서는 볼의 힘이 죽어 살살 구르는데 그치는 것.

이때의 클럽선택은 피칭웨지 정도가 좋다.

샌드웨지는 탄도가 높아 그린까지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 벙커 플레이=볼이 그린사이드 벙커에 빠졌으면 가장 먼저 퍼터사용여부를
생각한다.

국내 골프장의 벙커들은 대부분 턱이 없거나 아주 낮다.

또 모래의 질도 거칠고 단단하다.

따라서 퍼터로 칠수 있다는 판단이 들면 주저할 이유가 없다.

퍼터로 치면 그린엔 오른다.

정상적 벙커샷은 "홈런이나 다시 벙커"의 우려가 있지만 퍼터로 치면
온그린은 보장 되는 것.

사실 벙커 퍼팅도 백스윙만 천천히 하면 거리도 본능적으로 맞춰진다.

< 김흥구 전문기자 hkgolf@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4월 30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