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주간지인 비즈니스 위크가 최신호에서 파헤친 "월가 스캔들"이
미 증권계에 일파만파의 화제를 일으키고 있다.

6개월에 걸친 추적 취재를 통해 "월가의 무공해 지대"로 불려져 온
아메리카 증권거래소(ASE)의 치부를 여지없이 드러냈기 때문이다.

보도에 따르면 ASE가 보여온 그 동안의 행보는 "겉"과 "속"이 얼마나
다를 수 있는지를 여실히 일깨워준다.

옵션 스페셜리스트와 장내 거래인 등 내부 전문가들 사이에 담합에 의한
주가 조작이 공공연히 자행돼 왔는가 하면, 장내 브로커들이 내부자 거래를
통해 불법적인 투자 이득을 챙기는 등 갖가지 불법이 판을 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일부 직원들이 자본력이 취약한 중소기업들의 상장 허용을
미끼로 할인된 가격에 해당 주식을 할당받는 등의 사례까지 일삼아 온 것으로
드러났다.

ASE의 이런 "검은 속내"는 그동안 이 거래소가 대내외적으로 자랑해 온
"청정 이미지"가 한낱 허구에 지나지 않았음을 웅변해주고 있다.

이로써 이미 숱한 불-탈법 사례로 끊임없이 당국의 조사를 받는 등 스캔들을
빚어 온 뉴욕 증권거래소(NYSE)와 장외 증권시장인 나스닥(NASDAQ)에 이어
월가의 3대 증권시장이 모두 "검은 커넥션"과 연결돼 있음이 만천하에 드러난
셈이다.

NYSE의 경우 장내 브로커들이 일부 증권사들과 이익 배분을 전제로 내부
정보를 이용한 불법 주식 거래를 해 온 것으로 드러나 미 증권감독위원회와
연방 검찰 등 수사 당국이 조사를 진행 중이다.

증권시장 내부의 이런 불-탈법 사례는 말할 것도 없이 그 "비용"이 고스란히
시장 참가자, 특히 투자자들에게 전가된다는 점에서 일반인들을 분개시키고
있다.

대표적인 케이스로 ASE의 옵션 가격 조작을 들 수 있다.

거래소의 옵션 스페셜리스트들은 특정 주식의 옵션 매도 주문 및 매수 주문
가격 사이의 차이(스프레드)를 이중으로 조작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들과 연결돼 있는 기관 투자가들에게 적용하는 스프레드와 개인 투자자
들의 경우에 대해 상당한 차이를 뒀다는 것이다.

개인 투자자들이 그만큼의 바가지를 쓰는 것은 물론이다.

이런 식으로 해서 개인 투자자들이 입어 온 피해 규모만도 매년 평균
1억5천만달러에 달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추정이다.

투자자들을 더욱 경악시키고 있는 것은 ASE를 비롯한 미 증권시장들의
철저한 "패거리 의식"이다.

오랜 기간에 걸쳐 이같은 각종 불법 관행이 자행되면서도 결정적인 물증이나
관련 당사자들의 제대로 된 공개 증언이 하나도 나오지 않고 있는 게 이를
반증한다.

ASE의 누적된 비리를 추적 취재한 비즈니스 위크의 경우도 일부 불법 사례를
제보하거나 확인해 준 내부 직원들이 한결같이 익명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조직으로부터의 "보복"이 그만큼 가혹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뿐만 아니라 감독 권한을 갖고 있는 연방준비제도 이사회나 증권감독위원회
등 상부 기구들도 웬만한 부정 행위에 대해서는 "증거 불충분" 등을 이유로
경미한 제재에 그치는 등 "솜 방망이"만을 휘둘러 온 것으로 드러나 더욱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한마디로 미 증권계가 모조리 "한 통속"으로 움직여 왔다는 얘기다.

외환 위기의 수렁에 빠졌던 한국 등 아시아 국가들에 대해 "투명성 제고"를
가장 시급한 과제로 제시했던 것이 월가 집단이고 보면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정치 군사 경제 등 각 분야에서 "너 다르고 나 다른" 미국의 이중 잣대가
어제 오늘의 얘기는 아니지만, "남에게는 엄격하면서 자신에게는 관대한"
고질을 바로잡지 않는 한 미국 자본주의도 결국은 한계에 이를 수 밖에
없음을 명심해야 할 것 같다.

< 뉴욕=이학영 특파원 hyrhee@earthlink.net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4월 2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