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시대를 맞아 영상디스플레이 산업이 각광받고 있다.

이에따라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을 위한 한국과 일본업체간 경쟁이
치열하다.

영상표시장치는 주로 TV와 컴퓨터의 디스플레이용인 브라운관과 LCD(액정
표시장치)가 주류를 이루었다.

최근 고화질과 멀티미디어서비스를 위한 디지털TV방송이 시작되면서 이를
위한 제품이 쏟아지고 있다.

또 프리젠테이션 게시판 광고판등 대형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품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차세대를 겨냥한 이 제품들은 크고 선명하며 얇은 것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특징.

현재 차세대 디스플레이로는 TFT-LCD(초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
프로젝션TV, PDP(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프로젝터등이 꼽힌다.

이와함께 두께가 얇은 브라운관(Thin CRT), FED(전계방출 디스플레이),
유기 EL(전계발광 디스플레이)등이 개발단계에 있다.

TFT-LCD는 선명도를 강점으로 노트북컴퓨터의 디스플레이로 주로
쓰이다 최근 20인치이상의 큰 제품이 개발돼 데스크톱과 의료용으로
확대되고 있다.

LCD는 두께가 얇고 전력소모가 적으면서 선명한 것이 장점.

그러나 시야각이 좁고 30인치이상의 대형화면을 만들기 어렵다는 것이 단점.

비용이 많이 들어서다.

한국과 일본업체들이 세계시장에서 치열한 대결을 펼치고 있다.

프로젝션(후면투사)방식 TV는 3개의 작은 브라운관을 이용, 광학적으로
합성시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삼성 LG 대우등 국내업체를 비롯 일본의 디스플레이 업체들이 이 방식으로
미국식 HD(고선명)디지털TV를 만들고 있다.

프로젝션방식 TV는 기존 브라운관(CRT)이 비용이 많이 들어 40인치이상으로
키우기엔 부적합해 개발됐다.

PDP는 현재 가장 주목받는 차세대 화면장치다.

40~60인치급 고선명 디지털 TV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브라운관 TV의 최대단점인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는 점이 특징.

두께는 10분의 1수준인 10cm 이내가 가능, 이른바 벽걸이 TV에 가장 적합
하다.

LG전자 삼성전관 오리온전기와 일본의 후지쓰 NEC 마쓰시타등이 개발경쟁을
벌이고 있다.

국내업체들은 일본업체들보다 큰 60인치급의 고선명 대응제품을 개발했으나
상용화수준에선 뒤처지고 있다는 평가다.

대우전자는 PDP를 쓴 가정용 TV 생산체제를 갖추고 조만간 시판에 나설
계획이다.

LG는 지난해 10월부터 주문생산에 들어갔다.

그러나 아직은 값이 8백만~1천만원대(40인치급)에 이를만큼 비싼 것이
흠이다.

대당가격이 3백만~5백만원 이하로 떨어져 대량 보급될 시기는 2000년이후가
될 전망.

국내업체들은 벽걸이 TV의 생산을 2002년 50만대, 2005년에는 3백만대로
늘려 세계시장 점유율을 30%선으로 끌어 올릴 계획이다.

이와함께 프리젠테이션 용도의 2백~3백인치의 초대형 화면을 만들 수 있는
첨단 프로젝터(전면투사)들도 고선명화를 추구, 차세대 디스플레이 경쟁에
나서고 있다.

프로젝터로는 LG전자의 LCD프로젝터와 대우전자가 세계최초로 개발한
TMA가 눈길을 끌고 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3월 22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