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시그마 경영혁명] (6) '용어설명' .. 관리한계 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6시그마를 이해하려면 통계학의 기본지식이 필요하다.
확률 분포 산포 신뢰도 평균값 등이 대표적인 예.
이런 필수용어중 낯선 단어들도 꽤많다.
그 가운데서도 자주 등장하는 관리한계, 제1종의 과오, 제2종의 과오라는
용어를 풀이해 본다.
<> 관리한계 : 불량품과 정품이 갈리는 지점의 값을 관리한계라고 부른다.
예를들어 어느 담배회사에서 길이 7cm를 담배길이로 잡았다고 치자.
그리고 6.9~7.1cm 길이의 제품을 정품이라고 규정했다.
이범위가 바로 관리한계다.
이때 6.9cm를 관리하한선, 7.1cm를 관리상한선이라고 한다.
제품이 모두 이 관리한계에 들어가면 불량은 제로로 간주한다.
관리한계가 엄격할수록 업무프로세스에 대한 관리도 강하다는 뜻.
관리한계를 늦추면 그만큼 품질이 떨어지게 마련이다.
따라서 따라서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6시그마상의 관리한계를 엄격히
해야 한다.
<> 제1종의 과오 : 업무프로세스상 발생한 실수중에는 무시해도 좋을 일이
있다.
그것은 확률적으로 우연히 일어난 것이다.
이때는 업무프로세스를 샅샅히 조사해 봤자 프로세스상의 결함을 찾아내지
못한채 조사에 걸린 시간과 업무의 정지시간 등 코스트만 높아진다.
더 나아가 당장의 실수를 없애기 위해 프로세스 자체를 바꿔 버리는 경우도
있다.
무시해도 좋은 실수를 없애느라 제대로 된 프로세스를 변화시키는 새로운
실수를 저지르게 된다.
이런 실수를 통계용어로 제1종의 과오라고 한다.
<> 제2종의 과오 : 무시할만한 불량으로 판단했는데 사실은 중대한 실수
였다면 문제는 더 커진다.
이로 인해 불량품이 늘어나고 결국 기업및 브랜드 이미지까지 추락할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치명적인 실수를 제2종의 과오라고 한다.
제2종의 과오를 줄이면 제1종의 과오가 늘어난다.
반대로 제1종의 과오를 줄이면 제2종의 과오가 증가하게 마련이다.
그래서 필요한게 6시그마 기법이다.
이 기법은 전체 최적화의 관점에서 실수에 대한 대처방법을 설명해 주기
때문이다.
< 노혜령 기자 hroh@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3월 18일자 ).
확률 분포 산포 신뢰도 평균값 등이 대표적인 예.
이런 필수용어중 낯선 단어들도 꽤많다.
그 가운데서도 자주 등장하는 관리한계, 제1종의 과오, 제2종의 과오라는
용어를 풀이해 본다.
<> 관리한계 : 불량품과 정품이 갈리는 지점의 값을 관리한계라고 부른다.
예를들어 어느 담배회사에서 길이 7cm를 담배길이로 잡았다고 치자.
그리고 6.9~7.1cm 길이의 제품을 정품이라고 규정했다.
이범위가 바로 관리한계다.
이때 6.9cm를 관리하한선, 7.1cm를 관리상한선이라고 한다.
제품이 모두 이 관리한계에 들어가면 불량은 제로로 간주한다.
관리한계가 엄격할수록 업무프로세스에 대한 관리도 강하다는 뜻.
관리한계를 늦추면 그만큼 품질이 떨어지게 마련이다.
따라서 따라서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6시그마상의 관리한계를 엄격히
해야 한다.
<> 제1종의 과오 : 업무프로세스상 발생한 실수중에는 무시해도 좋을 일이
있다.
그것은 확률적으로 우연히 일어난 것이다.
이때는 업무프로세스를 샅샅히 조사해 봤자 프로세스상의 결함을 찾아내지
못한채 조사에 걸린 시간과 업무의 정지시간 등 코스트만 높아진다.
더 나아가 당장의 실수를 없애기 위해 프로세스 자체를 바꿔 버리는 경우도
있다.
무시해도 좋은 실수를 없애느라 제대로 된 프로세스를 변화시키는 새로운
실수를 저지르게 된다.
이런 실수를 통계용어로 제1종의 과오라고 한다.
<> 제2종의 과오 : 무시할만한 불량으로 판단했는데 사실은 중대한 실수
였다면 문제는 더 커진다.
이로 인해 불량품이 늘어나고 결국 기업및 브랜드 이미지까지 추락할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치명적인 실수를 제2종의 과오라고 한다.
제2종의 과오를 줄이면 제1종의 과오가 늘어난다.
반대로 제1종의 과오를 줄이면 제2종의 과오가 증가하게 마련이다.
그래서 필요한게 6시그마 기법이다.
이 기법은 전체 최적화의 관점에서 실수에 대한 대처방법을 설명해 주기
때문이다.
< 노혜령 기자 hroh@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3월 18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