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구소련에 제공한 경협차관을 러시아제 잠수함으로 대신 상환받는 문
제를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한 당국자는 14일 "러시아측이 경협차관을 현금으로 상환하는 대신
잠수함 2척을 도입하도록 요청해왔다"며 "이 문제에 대해 관계부처를 중심으
로 논의를 계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부처간 논의에서 러시아제 잠수함 도입으로 결론이 날 경우 국방부가 해군
전력 증강을 위해 추진중인 차기잠수함사업(SSU)은 전면 재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며 관련업체들의 적잖은 반발도 예상된다.

러시아 정부가 최근 우리 정부에 구매를 요청한 잠수함은 2천5백t급 이상인
킬로(K) 또는 1천9백t급 이하인 아무르(Amur)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러시아측의 잠수함 도입 요청을 검토하게 된 것은 러시아가 외채상
환 불능상태에 있는 만큼 지난 91년 제공된 경협차관을 사실상 돌려받기 어
렵다고 판단한데 따른 것이다.

또 지난해 한.러 양국 상주 정보요원 맞추방 사건 이후 소원해진 외교관계
를 복원하고 오는 5월로 예정된 김대중 대통령의 러시아 방문을 감안한 것으
로 보인다.

정부는 최종 방침이 정해지면 일단 올해안으로 2척의 잠수함을 직도입하되
추가도입분에 대해서는 기술이전 방식을 조건으로 공개경쟁입찰을 통해 들여
올 방침이다.

이와 관련, 국방부 고위관계자는 "현재 이들 무기에 대한 작전성 및 종합군
수지원체계(ILS)에 대한 검토 작업이 진행중"이라며 "아직은 어떤 사항도 결
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 장유택 기자 changyt@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3월 1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