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길 청와대정무수석이 언급한 중.대선거구제 문제를 놓고 정치권이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소선거구제냐 아니면 중.대선거구제냐에 따라 정당별, 개인별로 득실계산
이 크게 다를 수 밖에 없는 때문이다.

여권이 김 수석의 발언에 대해 서둘러 진화에 나서기는 했지만 성격상
언제든 또다시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선거구제를 둘러싼 논란이 가라
앉지 않는 또다른 이유다.

중.대선거구제는 선거구의 의석을 특정 정당이 독식할 수 없다는 점에서
그동안 지역갈등 해소의 한 방안으로 집중 거론돼 온 것이 사실이다.

또 소선거구제에 대한 김대중 대통령의 강한 의지에도 불구, 정치개혁을
통한 동서갈등 완화에 있어 이보다 나은 현실적 대안이 없다는 점도 김
수석의 이야기를 그냥 "원론적"인 것으로 들을 수 없는 배경이 되고 있다.

지역별로는 여야 3당 모두 "텃밭"출신 지역 의원들은 강하게 반대하는데
반해,"열세지역"에서는 찬성하는 입장이다.

그런가하면 선수별로는 대체로 지명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초.재선 의원들
은 반대하고, 지명도가 높은 다선의원들은 찬성하는 입장이다.

속내는 의원마다 서로 다르겠지만 국민회의는 당론이 소선거구제와 정당
명부제의 결합임을 재확인하고 나선 반면,자민련은 내각제 개헌 등 권력구조
문제를 먼저 정리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뚜렷한 당론을 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민련 쪽에 서있는
상황이다.

< 김남국 기자 nkkim@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3월 9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