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 골재수익금 누구 소유냐" .. 충남도-시/군 '샅바싸움'
가는 지역(군)의 수입인가.
최근 금강에서 퍼올린 골재 등의 수익금 배분 비율을 놓고 충남도와 시.군이
샅바 싸움을 벌이고 있다.
금강 골재를 팔아 벌어들이는 금액은 연간 2백여억원.
10%만 양보해도 20억원이 넘나드는 큰 돈이다.
더구나 지금은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 모두 재정확보에 비상이 걸려 있는
시점.
한푼의 재원이 아쉬운 터여서 서로 양보없이 팽팽히 맞서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광역 기초지자체간 판매수익금 배분 비율은 60%대 40%로 도가 훨씬
더 많다.
당초 지난 95년 금강골재 수익금이 처음 배분됐을 때는 시.군의 수익금배분
률이 70%로 더 높았으나 "치수 관리를 도에서 하는 만큼 도가 더 많이 가져야
한다"는 이유로 매년 10% 포인트씩 배분 비율이 바뀌어온 것.
도는 올들어서는 수익금 배분 비율을 더 높여 수익금의 70%를 가져가겠다고
관련 시.군에 통보했다.
이렇게되자 금강에서 골재를 채취하는 공주시 부여군 청양군 연기군 논산군
등은 "말도 안된다"며 힘을 합쳐 강력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수입금 30%로는 인건비와 관리비도 안나오기 때문에 차라리 사업을 포기하겠
다는 입장이다.
시.군은 최소한 50%는 배정받아야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충남도 관계자는 "도로 배분된 수익금은 다시 금강 홍수예방을
통해 시.군에 재투자되는만큼 골재 수익금을 도가 활용하는 것은 당연하다"며
양보할 뜻이 없음을 분명히했다.
< 대전=이계주 기자 leerun@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3월 8일자 ).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