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입학시즌 '꽃값이 오른다'
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경기 침체로 꽃소비량은 예년의 절반수준으로 하락해 꽃값상승에도
불구, 상인과 재배농민들이 울상을 짓는 기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11일 광주원예농협에 따르면 화훼공판장에서 장미가 1단(10송이)에 6천5백
~7천원, 안개가 4천5백~5천원, 카네이션 4천5백~6천원 등의 경락시세를 나타
내 1주일전에 비해 30~40%씩의 오름세를 보였다.
이같은 급등세는 발렌타인 데이인 14일부터 초등학교 졸업식이 열리는 19일
사이의 수요증가 기대심리로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이처럼 가격이 오른 것은 화훼 최대주산단지인 경기도 고양과 평택 등지가
지난해 여름 큰 수해를 입은데다 일부 농민들이 올겨울 한파를 걱정해 재배를
포기한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출하량 감소로 인한 꽃값 상승은 소비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한 상인은 "예년에는 졸업생 1명당 2~4개의 꽃다발이 팔려나갔으나 올해는
많아야 1~2개가 고작"이라고 말했다.
재배농민 김모(39.광주시 광산구 우산동)씨는 "지난해부터 교육부가 학교내
꽃반입 금지조치를 내린이후 최대성수기인 요즘에도 판매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꽃소비 촉진을 위한 대책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광주=최성국 기자skchoi@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2월 12일자 ).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