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추얼펀드 주식형펀드(수익증권) 등 주식간접 투자상품이 한꺼번에
쏟아지자 둘 사이에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한 회사에서 두 상품을 동시에 팔고 있는 경우도 있다.

뮤추얼펀드와 주식형펀드는 고객으로부터 돈을 모아 유가증권에 투자한 뒤
그 결과를 실적배당하는 투자신탁 상품이라는 점에서 비슷하다.

그러나 여러면에서 차이가 있다.

수익증권은 투자신탁회사가 고객돈을 운용한뒤 그 결과를 되돌려주겠다고
고객과 계약을 맺는 계약형 투자신탁이다.

독립된 하나의 회사로 존재하는 뮤추얼펀드는 고객들이 계약자가 아니라
주주로 참여한다.

그래서 회사형 투자신탁으로 불린다.

이에따라 고객이 받는 이익금도 수익증권의 경우 수익금, 뮤추얼펀드는
배당금이라고 한다.

또 현재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뮤추얼펀드는 1년간 중도인출이 되지
않는다는 것도 수익증권과 다른 점이다.

수익증권은 만기전이라도 일정금액의 수수료를 지급하면 중도환매가
가능하다.

환금성에서 수익증권이 뮤추얼펀드에 비해 유리하다는 얘기다.

고객들이 지급해야 하는 비용의 체계도 다르다.

뮤추얼펀드는 상법상 주식회사이기 때문에 회사설립 비용, 감사 이사 등의
임금등 을 펀드자산에서 충당해야 한다.

결국 뮤추얼펀드 투자자들은 수익증권 투자자들이 부담해야 하는 판매.운용
수수료외에 추가로 부담을 지는 셈이다.

그러나 투신사 증권사 등 각 사마다 수수료체계가 달라 어느쪽이 고객부담이
높다고 일률적으로 말할수는 없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2월 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