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24일 국회에서 비공식 수석부총무 접촉을 갖고 경제청문회 개최를
위한 협상을 재개했으나 국정조사특위 구성 등 주요 쟁점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해 진통을 겪었다.

여당은 국정조사특위 구성과 관련, 위원장은 여당이 맡고 특위 위원도
의석비율에 배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한 반면 한나라당은 여야 동수로
특위를 구성하거나 위원장을 야당 몫으로 배정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의제문제와 관련, 여당은 환란의 원인과 책임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맞춰 구정권의 경제파탄 책임을 부각시키려 했다.

반면 야당은 노사관계법 처리 무산 등 당시 야당이었던 현 여권의 공동
책임 문제와 새 정부의 경제정책 실패도 함께 다뤄야 한다고 맞섰다.

국민회의 한화갑 총무는 "한나라당이 김영삼 전대통령의 증인채택에 반대
하지 않기로 했으나 이는 김대중 대통령과 김종필 총리를 증인으로 같이
부르자고 주장해 김 전대통령의 증인채택을 막으려는 의도"라고 지적했다.

한 총무는 "청문회 특위를 여야 동수로 구성하거나 위원장을 달라는 야당
의 주장은 법과 관례에 어긋나는 만큼 수용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신경식 사무총장은 "여권에서 김 전대통령을 청문회
증인으로 채택하겠다면 김 대통령과 김 총리도 노동법 파동 등 책임이 있는
만큼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여당은 30일까지 야당과의 협상에서 진전이 없을 경우 국정조사특위구성과
국정조사계획서에 대한 여야안을 국회 본회의에서 표결로 처리한다는 방침을
세워뒀다.

< 김남국 기자 nkkim@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2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