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용 컴퓨터와 인터넷의 이용이 확산되면서 사이버 저널리즘이 새로운
시대적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인터넷이 사이버공간을 넘어 이제는 현실세계에도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함에 따라 신문 방송 등 뉴스매체가 이를 외면하고서는 종합적이고도
완벽한 보도기능을 수행한다고 말할 수 없게 됐다.

웹진 등 온라인 뉴스미디어가 늘어나고 있는 것도 새로운 경향이다.

클린턴 미국 대통령의 성추문 보도에 드러지리포트 CNN인터랙티브 등
인터넷 뉴스매체가 주도적이고 핵심적인 역할을 한데서도 사이버시대에
저널리즘이 변화하고 있는 모습을 읽게 해준다.

한국경제신문이 언론사상 처음으로 사이버 기자 한경제를 탄생시킨 것은
이처럼 급변하고 있는 시대적 조류를 반영한 것으로 본다.

한경제는 요즘 유행하는 사이버 캐릭터의 하나라기보다는 미래의 사이버
저널리즘을 선도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의 접근이자 실험정신이라는 점에서
특히 주목할만 하다.

그런만큼 한경제의 활약에 상당한 기대를 갖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다만 사이버 기자의 역할과 기능이 아직 분명하게 확립돼있지 않은 점은
극복해야할 과제로 남아있다.

사이버공간의 "가상기자"가 어떤 방식으로 실존 인물같은 저널리스트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언론의 사명을 완수할 것인지, 그것을 해결하는게 한경제
사이버기자의 몫이다.

사이버기자에 대한 언론사적 평가는 그러한 정체성 확보에 성공하는가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비록 준익명성을 갖는 가상기자일지라도 실존기자와 똑같은, 아니
그 이상의 정도 저널리즘을 실천할 때 독자로부터 사랑을 받게 되고
언론인으로서 뚜렷이 자리매김될수 있을 것이다.

그것이 한경제가 추구하는 사이버 저널리즘의 바람직한 모습이다.

사이버 저널리즘은 신문 방송 등 기존 매체의 취재활동에도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세계 유수의 언론사들이 컴퓨터를 활용한 보도기법, 즉 CAR(computer
Assisted Reporting)를 강조하고 있다.

온라인으로 지구촌 구석구석을 뒤지거나 CD롬 등 오프라인의 데이터베이스
를 활용하여 자료를 찾아내는 기법은 기자의 기본소양이 됐다.

독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찾아내는데 기자들이 뒤떨어진
자료를 이용해 기사를 작성한다면 곤란한 일이다.

인터넷은 국제부나 과학부기자들이나 활용하면 된다는 생각이 있는데
이는 위험하다.

현장을 직접 뛰는 일이 중요한 정치부나 사회부 기자들도 자료검색을
통해 취재원에 대한 심도깊은 이해를 할 수 있다.

최근엔 정부나 기업 등 다양한 취재원들이 홈페이지를 개설하는 경우가
늘고 있으며 전자우편을 통한 인터뷰도 확산되고 있다.

CAR는 뉴미디어시대에 언론활동을 효율화하고 언론사업의 경쟁력을
확보하는데도 중요한 요소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기사의 선택이나 가치판단에도 새로운 잣대가
도입돼야 한다.

이러한 CAR의 확산에 대해 역기능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는게 사실이다.

잘못된 정보를 인용할 위험이 크다거나 기자들이 현장취재보다는
정보검색에 시간을 쏟는다는 지적들이다.

기자들이 단순히 사실과 정보의 나열에만 그치는 맥없는 기사작성에
안주한다면 분명히 그러한 역기능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컴퓨터는 도구일뿐이다.

현상뒤의 진실을 파악하는 것은 여전히 기자의 몫이다.

뉴미디어가 쏟아내는 정보의 홍수속에서 가치있는 내용을 선별해
독자들에게 제공해야 한다는 점에서 본다면 기자의 임무는 더욱
무거워졌다고 볼 수 있다.

뉴미디어가 확산될수록 사이버 저널리즘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이다.

한국경제신문이 만들어낸 한경제 사이버기자가 시대의 흐름을 앞서가는
새로운 저널리즘 영역을 개척하는데 앞장설 것을 기대한다.

추광영 < 서울대 언론정보연구소장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12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