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아시아지역에 대한 무역적자를 감수하겠다고 나서면서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제사회의 공조프로그램이 구체화되고 있다.

무역적자를 감수하겠다는 아이젠스타트 차관의 도쿄 발언은 빌 클린턴
미국대통령이 14일 "아시아기업에 대한 부채탕감등 6개항의 위기해법"(본보
16일자 보도)을 제시한데 이어 나온 것으로 경제정책에 이어 통상정책 역시
위기관리형으로 전환하겠다는 겅력한 의사표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날 미셸 캉드쉬 IMF총재 역시 "IMF가 다음달초까지 서방선진7개국(G7)의
금리인하 등 구체적인 액션프로그램을 마련키로 했다"고 밝혔다.

미국과 IMF를 중심으로한 세계적 위기탈출 프로그램이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 것이다.

고든 브라운 영국 재무장관도 "위기 해소를 위한 국제적인 책임을 다하겠다"
고 밝히는 등 분위기를 잡기도 했다.

클린턴대통령의 6개항 호소 이후 국제분위기가 급변하고 있는 셈이다.

미국이 아시아에 대한 무역적자 수용의사는 아시아 기업의 부채탕감 계획과
연장선상에 있다.

빚을 줄여 도산을 방지토록 하는 한편 생산된 물건을 적극적으로 팔 수
있도록 미국시장을 열어주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적자는 감수하겠다는
것이다.

대신 아시아국가들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경기부양을 촉구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일본에 대해서는 강경한 입장을 취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이 일본의 경기부양을 도울테니 대신 일본은 아시아국가의 경제활력
회복을 책임지라는 소위 역할분담론인 셈이다.

중남미에 번지고 있는 금융위기에 대한 대응법도 마련됐다.

클린턴 대통령은 15일 미국은 IMF가 중남미에 약 1백50억달러를 지원하는
방안을 지지한다고 분명한 어조로 언급했다.

아시아 사태가 중남미로까지 번지는 것은 어떻게든 막겠다는 강력한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현시점에서 위기도미노를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미국은 다른 선진국에도 일정한 희생을 요구하고 나섰다.

IMF는 다음달초까지 G7국가들의 금리인하방안 등을 마련할 방침이다.

또 성장촉진을 위해 무역을 활성화하는 계획도 구체화할 방침이다.

미국은 이미 안정보다는 성장중심의 경제정책을 운용하겠다고 선언했다.

또 금리를 올리느냐 내리느냐도 미국내 사정보다는 세계경제를 고려해
결정하는 방향으로 선회했다.

물론 미국이 내달초까지 선진국 공동의 위기 해법을 구체화하기까지에는
장애물도 많다.

우선 채권은행단이 부채탕감에 동의할 지는 미지수다.

또 서방선진국들이 금리인하에 보폭을 맞춰줄 지도 확실하지 않다.

IMF의 텅빈 금고도 중남미 지원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하지만 위기 확산을 방관했다가는 세계적 금융공황이 닥칠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높아가고 있어 국제적 공조프로그램이 분명히 작동할 것이라는
조심스런 낙관론도 나오고 있다.

미국 해법에 대한 일본및 서방 선진국들의 대응이 주목된다.

< 조주현 기자 forest@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9월 17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