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00년부터 한반도는 해안을 따라 형성되는 환황해축, 환동해축, 남해
안축등 3개 연안축과, 동서를 수평으로 잇는 인천~강릉, 군산~목포, 평양~원
산의 3개 내륙축등 6개 국토통합축을 중심으로 개발된다.

특히 통일에 대비, 한반도 전체를 일일생활권과 단일경제권으로 묶는 남북
한 공동의 통일국토계획이 수립된다.

건설교통부 산하 국토개발연구원은 9일 오후 연구원 강당에서 열린 "21세기
의 국토구상"심포지움에서 이같은 내용의 제4차 국토종합계획 구상안을 발표
했다.

이를 위해 연구원은 <>국토통합축의 형성 <>지방도시 육성과 수도권의 분업
분산화 <>국제개방거점과 테크노벨트의 조성 <>민간주도의 인프라건설과 국
토의 정보화 <>녹색전원생활 기반의 창조 <>남북한 교류협력사업의 다각적
추진 <>동북아 교류중추권 경영등 7대 전략을 내놓았다.

연구원은 또 통일후 한반도를 겨냥, 환동해축은 목포에서 신의주, 환동해축
은 부산에서 나진.선봉을 연결하며 동서 내륙축도 인천~강릉, 군산~포항외에
평양~원산축을 구축해 북한을 포함하는 개발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
다.

특히 남북종단의 백두대간 민족생태공원, 동서횡단의 비무장지대(DMZ) 평화
생태공원, 남북교류지대 조성등 남북한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통일국토계획
수립을 통일전에라도 북한에 제안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정부차원에서 북한측에 통일국토계획을 공동으로 수립하자고 요청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밖에 수도권 집중을 억제하기 위해 지방 중심도시를 섬유, 해양산업등 산
업별로 특화된 수도를 지정하고 인천, 목포 등을 투자자유지역으로 개발한다
는 계획도 내놓았다.

건교부는 연구원의 이 구상을 기초로 공청회등을 거쳐 내년말 최종안(제4차
국토종합계획)을 확정짓고 오는 2000년 1월부터 2020년까지 시행할 방침이다

송진흡 기자 jinhup@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9월 10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