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정부' 6개월/구조조정] 규제사례 : '크라이슬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외국에선 경제체질을 강화하기 위해 기업이 자발적으로 경영혁신노력을
하는 과정에서 정부가 직간접적으로 이를 지원한 사례가 적지 않다.
정부가 직접 개입해 기업구조조정을 유도한 경우도 있고 제 3자와의
갈등을 중재해준 사례도 있다.
정부의 도움을 받아 성공한 미국 크라이슬러 구조조정 사례를 알아본다.
크라이슬러는 지난 79년 무리한 설비투자와 일본차의 공세로 경영난을
겪는 가운데 오일쇼크를 맞아 11억달러의 적자를 기록하는 등 파산위기에
몰렸다.
80년 회장으로 영입된 아이아코카는 수익성이 낮은 공장을 폐쇄했다.
인력도 크게 줄였다.
35명의 부사장을 2명으로,4만명의 사무직 노동자를 2만2천명수준으로
감축했다.
또 본인의 연봉을 1달러로 묶는 조건으로 모든 직원의 급여를 10% 삭감하는
등 대대적인 리스트럭처링을 단행했다.
채권은행단은 이회사의 총부채 20억달러중 10억달러를 우선주로 전환시키고
7억달러 이상의 원리금을 탕감해줬다.
다른 금융기관도 4억달러로 추가로 대출해주고 1억달러의 기존 대출금회수를
포기했다.
GM 등 경쟁업체도 크라이슬러의 딜러들이 가지고 있는 채권을 사들이는
방식으로 2억3천만달러의 단기융자를 제공했다.
정부도 79년 12월 총 35억달러규모를 지원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크라이슬러사 지원법안을 통과시켜 법적 지원근거를 서둘러 마련했다.
이중에는 15억달러의 정부지급보증도 포함돼 있다.
기업의 개혁을 전제로 한 지원약속이었다.
금융기관, 지방공공단체, 노조, 딜러 등 이회사와 관련된 모든 기관의
지원이 지켜지지 않으면 정부는 지급보증을 중단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특히 정부는 노조에 임금삭감 혹은 동결안을 받아들이도록 촉구했고
해외금융기관 부품업계에도 크라이슬러 살리기에 동참토록 요구했다.
그 결과 3년만에 가시적인 구조조정의 성과를 볼 수 있었다.
80년 17억달러의 결손을 기록했던 이 회사는 84년 14억달러의 순익을
기록할 정도로 경영이 호전됐다.
이는 81년 선보인 신차가 잘 팔린데다 일본차업계가 자율수출규제에 나섰기
때문이다.
그러나 빠른 시일내 경영이 개선된 것은 개발비및 생산원가를 혁신적으로
낮추는 체질 개선을 한데 따른 것이다.
크라이슬러는 개발비를 경쟁업체의 절반수준인 2.7%수준으로 낮췄으며
생산원가도 포드나 GM보다 대당 1천~1천5백달러 낮춰 순이익이 크게
증가했다.
또 종래에는 연간 2백50만대 규모였던 손익분기점을 1백10만대 수준으로
낮췄다.
전문가들은 외국기업 구조조정 사례에 비춰볼때 기업개혁이 성공하기 위해선
정부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한다.
73년 오일쇼크로 경영위기를 맞은 일본 마쓰다가 회생할수 있었던 것도
정부가 금융기관에 지원을 요청했기에 가능했다.
독일에서도 브레머주정부가 95년 경영난에 빠진 조선업체인 브레머풀칸에
1억3천만마르크의 지불보증등 총 7억마르크를 지원했다.
주정부가 주의회의 의결을 거쳐 채권은행단의 동의를 얻어 지원을 결정한
것이다.
물론 정부지원의 전제조건은 뼈를 깎는 기업의 자구노력이다.
기업은 자발적인 경영혁신의지를 내보이고 정부는 기업의 구조조정노력이
조기에 성과를 볼 수 있도록 관련 정책과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
< 이익원 기자 iklee@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8월 24일자 ).
하는 과정에서 정부가 직간접적으로 이를 지원한 사례가 적지 않다.
정부가 직접 개입해 기업구조조정을 유도한 경우도 있고 제 3자와의
갈등을 중재해준 사례도 있다.
정부의 도움을 받아 성공한 미국 크라이슬러 구조조정 사례를 알아본다.
크라이슬러는 지난 79년 무리한 설비투자와 일본차의 공세로 경영난을
겪는 가운데 오일쇼크를 맞아 11억달러의 적자를 기록하는 등 파산위기에
몰렸다.
80년 회장으로 영입된 아이아코카는 수익성이 낮은 공장을 폐쇄했다.
인력도 크게 줄였다.
35명의 부사장을 2명으로,4만명의 사무직 노동자를 2만2천명수준으로
감축했다.
또 본인의 연봉을 1달러로 묶는 조건으로 모든 직원의 급여를 10% 삭감하는
등 대대적인 리스트럭처링을 단행했다.
채권은행단은 이회사의 총부채 20억달러중 10억달러를 우선주로 전환시키고
7억달러 이상의 원리금을 탕감해줬다.
다른 금융기관도 4억달러로 추가로 대출해주고 1억달러의 기존 대출금회수를
포기했다.
GM 등 경쟁업체도 크라이슬러의 딜러들이 가지고 있는 채권을 사들이는
방식으로 2억3천만달러의 단기융자를 제공했다.
정부도 79년 12월 총 35억달러규모를 지원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크라이슬러사 지원법안을 통과시켜 법적 지원근거를 서둘러 마련했다.
이중에는 15억달러의 정부지급보증도 포함돼 있다.
기업의 개혁을 전제로 한 지원약속이었다.
금융기관, 지방공공단체, 노조, 딜러 등 이회사와 관련된 모든 기관의
지원이 지켜지지 않으면 정부는 지급보증을 중단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특히 정부는 노조에 임금삭감 혹은 동결안을 받아들이도록 촉구했고
해외금융기관 부품업계에도 크라이슬러 살리기에 동참토록 요구했다.
그 결과 3년만에 가시적인 구조조정의 성과를 볼 수 있었다.
80년 17억달러의 결손을 기록했던 이 회사는 84년 14억달러의 순익을
기록할 정도로 경영이 호전됐다.
이는 81년 선보인 신차가 잘 팔린데다 일본차업계가 자율수출규제에 나섰기
때문이다.
그러나 빠른 시일내 경영이 개선된 것은 개발비및 생산원가를 혁신적으로
낮추는 체질 개선을 한데 따른 것이다.
크라이슬러는 개발비를 경쟁업체의 절반수준인 2.7%수준으로 낮췄으며
생산원가도 포드나 GM보다 대당 1천~1천5백달러 낮춰 순이익이 크게
증가했다.
또 종래에는 연간 2백50만대 규모였던 손익분기점을 1백10만대 수준으로
낮췄다.
전문가들은 외국기업 구조조정 사례에 비춰볼때 기업개혁이 성공하기 위해선
정부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한다.
73년 오일쇼크로 경영위기를 맞은 일본 마쓰다가 회생할수 있었던 것도
정부가 금융기관에 지원을 요청했기에 가능했다.
독일에서도 브레머주정부가 95년 경영난에 빠진 조선업체인 브레머풀칸에
1억3천만마르크의 지불보증등 총 7억마르크를 지원했다.
주정부가 주의회의 의결을 거쳐 채권은행단의 동의를 얻어 지원을 결정한
것이다.
물론 정부지원의 전제조건은 뼈를 깎는 기업의 자구노력이다.
기업은 자발적인 경영혁신의지를 내보이고 정부는 기업의 구조조정노력이
조기에 성과를 볼 수 있도록 관련 정책과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
< 이익원 기자 iklee@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8월 2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