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은 경기부양책에 목말라하고 있다.

모업체 관계자는 "지금은 인플레이션의 부작용을 우려할게 아니라 우선
기업을 살려놓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내수가 극심한 부진을 보이고 있는데다 돈의 흐름이 막혀있는 상황인
만큼 기업으로 돈이 흘러올 수 있도록 묾꼬를 터줘야 한다는 설명이다.

건설회사의 한 관계자도 "구조조정이 더뎌질까봐 통화를 확대해 주지
않으면 흑자업체의 연쇄부도는 계속될 것"이라며 "살아남는 기업이 있어야
구조조정을 해도 할게 아니냐"고 되물었다.

전경련 김태일 이사는 "경기가 지금보다 더 침체될 경우 기업부실화가 더
심각해져 회복을 위한 비용이 지나치게 늘게 된다"며 "경기부양책으로 경기
하강 속도를 늦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이사는 "실업문제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라도 건전한 기업은 살아남을
수 있도록하는 부양조치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디플레이션의 기미가 보일 때에는 인플레이션정책을 취할 필요도
있다"며 "IMF와의 합의와 비교할 때 한은 본원통화에 여유가 있는 만큼
과감한 통화확대정책을 실시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경제연구원 김세진 연구위원은 "금융시스템이 완전히 마비돼 있는 만큼
정부가 다소 인위적인 경기부양책을 통해서라도 기업에 돈이 흘러가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연구위원은 다만 일본 처럼 경기부양책이 실패로 돌아가지 않으려면
국민에게 지나친 기대를 주지 않도록 경기부양의 목표를 분명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재정 적자를 감수하면서 뿌린 돈이 기업에 실제로 흘러갈 수 있도록
사전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권영설 기자 yskwon@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7월 14일자 ).